HOME  >  시사  >  종합

‘플라잉카’ 개발에 뛰어든 현대차, 美 NASA 부사장 영입

지난해 미국 뉴욕모터쇼에서 제네시스 ‘E-GT’ 콘셉트카를 살펴보고 있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드디어 ‘플라잉카’ 개발에 나선다. 인간의 이동과 물류 운송에서 항공 모빌리티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자동차·항공·정보기술(IT) 업체들이 앞다퉈 플라잉카 개발에 뛰어들자 현대차그룹도 더이상 지체해선 안된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도심용 항공 모빌리티 핵심 기술 개발과 사업 추진을 전담하는 ‘어반 에어 모빌리티(UAM) 사업부’를 신설하고 미 항공우주국(NASA) 항공연구총괄본부 본부장 출신 신재원(60·사진) 박사를 사업부 담당 부사장으로 영입했다고 30일 밝혔다.

UAM 사업부를 총괄하는 신 부사장은 미래항공 연구와 안전 부문 베테랑급 전문가로 불린다. 미 항공우주국에서 30년간 경험과 전문성을 쌓아 온 신 부사장은 현대차그룹의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 진입을 진두지휘하게 된다. 특히 신 부사장은 항공 안전과 항공교통 관제 기술 분야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어 항공기체 개발을 넘어 항공 인프라와 항공 관제체계 등 종합적인 교통체계 관점에서 시장에 접근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가시티화로 지상에서의 이동 효율성이 점점 떨어지면서 구글, 우버, 보잉, BMW, 아우디, NEC 등 해외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하늘을 나는 교통수단’을 연구·개발해 시제품을 선보여왔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는 교통체증을 유발시키지 않고 수직 이착륙을 하기 때문에 활주로도 필요 없다. 자동차와 항공기의 단점을 보완한 혁신적인 미래 도심 이동수단인 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개인항공기(PAV)나 에어택시 등의 개발에서 뒤처져 왔다.

정의선 수석부회장 지휘 아래 현대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과감한 투자와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정 수석부회장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비행 자동차가 레벨 5의 자율주행차보다 오히려 상용화가 먼저 될 수도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신 부사장이 이끄는 UAM 사업부를 중심으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 진입을 위한 전체적인 로드맵을 짤 예정이다. 배터리와 모터, 경량소재, 자율주행 등 자동차 제조 핵심 기술을 UAM 사업에도 적극 활용해 사업 시너지 효과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궁극적인 목적은 고객에게 이동의 자유로움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신 부사장은 “이제 현대차그룹에서 도심 항공 모빌리티 사업을 구체화할 수 있는 책임을 받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비행체와 핵심 기술 개발을 통해 향후 20년 내 1조5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을 가진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에서 업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