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샛강에서] 한국교회 연합기관 하나돼야



교회 밖 인사를 만나면 자주 듣는 말이 있다. “교회는 도대체 대표기구가 있는지 모르겠어요. 어떤 사안에 대해 입장을 내놓는 걸 보면 제각각이어서 혼선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니 신뢰할 수 없어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예배 문제만 해도 죽어도 포기할 수 없다는 측이 있고 우선 방역을 철저히 한 다음 예배를 생각해야 한다는 교회가 있는가 하면, 아예 대면 예배를 포기하는 곳이 있으니 헷갈려요.”

이 인사의 말 그대로가 한국교회 현실이다. 코로나19가 발발하면서 예배를 둘러싼 한국교회의 시각은 여러 갈래였다. 특히 예배 사수를 주장하는 일부 교회에서 감염이 확인된 데다 한국교회가 이단 또는 불건전 단체, 거리를 두는 정치 목사 등으로 규정한 신천지와 경북 상주의 인터콥 BTJ 열방센터, 전광훈 목사의 사랑제일교회 등에서 감염이 발생하면서 무차별적으로 비판받았다. 정부의 방역 조치에 협조하며 예배당 모임을 자제했던 교회의 모습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고 대체로 집단감염의 온상으로 비쳤다.

한국교회에 대한 박한 평가는 우선 교회 스스로에 책임이 있다. 국민의 눈은 이단이니 불건전 단체니 하는 것을 구별하지 않는다. ‘그 교회가 그 교회’일 뿐이다. 십자가가 걸려 있으면 교회로 여기는데 그런 곳에서 감염이 퍼졌다니 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국민에게 참과 거짓을 판별케 하려는 교계의 노력이 부족했다. 무인가신학교를 통해 배출되는 함량 미달의 목사들이 일으키는 사건 사고도 일반의 관점에서는 ‘목사가 하는 나쁜 짓’으로 간주된다. 싸잡아 매도당하는 게 한국교회의 실태다. 교회가 잘하고, 성직자가 본이 되면 당연한 처사이고 일말의 일탈이나 잘못이 발견되면 가차 없이 비판한다.

종교국을 맡고 나서 늘 갖는 안타까움이 있다. 교계의 위기관리 대처능력이 너무 취약하다는 사실이다. 목회자 개인의 문제는 물론이고 교회, 교계 전반의 첨예한 현안에 대해 조직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소수의 목사와 몇몇 교회가 중심이 돼 나서고 있다. 교계 내에서조차 찬성과 반대 목소리가 나오니 도대체 ‘교회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의문을 낳는다. 언론의 조명과 국민의 관심은 미미하거나 부정적으로 결론 나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 그럴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교계를 대변하는 대표기관이 없다는 점이 큰 요인이라 생각된다. 정점을 두고 위계가 확실한 가톨릭과 달리 신앙 입장에 차이가 있는 교단 중심의 개신교 특성상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지만 신앙의 본질에 관한 한 교계는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최근 한국교회의 연합기관이 하나가 돼야 한다는 주장이 교계에서 확산돼 무척 반갑다. 연합기관이란 신앙의 관점에 차이가 있는 교단들이 모여 내부의 일치와 사회와의 가교 역할을 도모하는 연합체다. 현재는 진보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보수의 한국교회총연합, 한국교회연합,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있다. 교계의 큰 흐름은 보수 쪽의 기관들이라도 뜻을 모으자는 데 방점이 있다. 낙관할 수만은 없다. 교권과 교단우선주의, 개교회 절대주의, 이단성 여부 판단 등 통합을 가로막는 난제가 수북하다. 돈과 사람, 조직 통폐합 등 현실적 애로가 적지 않다. 주창하는 측을 제외하고는 관심이 쉽게 증폭되지 않는 한계도 있다.

연합기관의 하나됨을 모색하는 교회연합운동은 공적 신앙고백을 위한 긴요한 수순이다.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답게 살면서 사회적 책임을 제대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교계의 일치된 목소리를 내는 연합기관의 탄생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분위기를 더 띄우고 단계적인 실무작업을 해나가야 한다. 이대로 간다면 한국교회 생태계는 온전히 유지되기 어렵다. 그때는 내 교회, 우리 목사님, 한국교회가 과연 존재할 수 있을까.

정진영 대기자 겸 종교국장 jyjung@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