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오피니언  >  칼럼  >  빛과 소금

[빛과 소금-송세영] 한국교회와 3·1 운동
내년이면 3·1운동 100주년이다. 비폭력 저항의 정신으로 시작된 3·1운동은 세계사적 의미를 갖는다. 같은 해 5월 중국에서 전개된 5·4운동의 도화선이 되는 등 제국주의 침탈 아래에 놓여 있던 약소국과 식민지 각국의 저항운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3·1운동의 비폭력 저항 정신은 지난해 서울 광화문 촛불집회에서 재현됐다. 국내외 언론은 수많은 인파가 모인 촛불집회가 도심 한복판에서 평화적으로 진행된 것을 경이롭게 바라보며 높이 평가했다. 당시 시위대가 촛불 대신 화염병과 쇠파이프를 들었다면 비극적인 유혈사태로 번...
입력:2018-08-10 15:05:01
[빛과 소금-노희경] 디모데와 요한의 ‘옥중편지’
“사랑하는 울 엄마, 또다시 새로운 형제들과 지내게 됐습니다. 110명이나 되는 형제들이 있는 노역장으로 출역했습니다. 하늘 아버지께서 새로운 곳에 예비하셨을 섬김과 도전을 기대하며 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며칠 전 받은 휴대폰 문자 메시지 일부다. 홀리네이션스선교회 대표 김상숙 권사는 매일 오전 함께 나누면 좋을 만한 글을 보내주는데, 이 메시지 제목이 ‘디모데와 요한의 편지’다. ‘옥중’ 두 아들이 써 보낸 손편지를 정리해 보내준 것이다. 지난 2월 그들을 만난 적이 있다. 한 달에 한 번 두 아들을 면회하러 가는 길에 동행...
입력:2018-08-03 15:05:01
[빛과 소금-전정희] 日 산간마을 두 목사 이야기
지난주 금요일.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 고후교회 홍창희 목사 부부가 고령의 한 일본인 목사 부부를 찾아나섰다. 며칠째 전화를 받지 않아 염려돼 직접 가보기로 한 것이다. 그 일본인 목사는 ‘청계천 빈민의 성자’ 노무라 모토유키. 노무라 목사는 1960년대 말부터 80년대 중반까지 서울 청계천 등에서 빈민 구호와 선교 활동을 했으나 돌연 야마나시현의 깊은 산 야쓰가다케에 들어가 ‘베다니교회’를 세우고 한국과 연을 끊었다. 청계천변 판자촌이 강제 철거되자 도시 빈민들과 서해 남양만에 들어가 두레공동체를 꾸렸던 그였으나 사역지에서 벌...
입력:2018-07-27 15:05:01
[빛과 소금-윤중식] 수혈 거부에 관한 단상
그 집단의 신도를 처음 만난 것은 고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가 쏜 권총에 쓰러졌던 1979년 인천 송도고등학교 1학년 겨울방학 때다. 애국가를 작사한 윤치호 선생이 1906년에 설립한 미션 스쿨이라 성경 과목이 별도로 있었지만 개인의 신앙은 자유로웠다. 인천시 간석동 산동네에서 처음 만난 그는 잊을 만하면 찾아왔다. 그는 같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선배라면서 열변을 토했다. “우리는 그리스도와 함께 하늘에서 세상을 통치하는 왕과 제사장으로 봉사하며 인류를 심판하는 배석 심판관의 역할을 한다. 여호와의 왕국의 기간은 1000년이 될 것이다. 이 기간이 차...
입력:2018-07-13 15:05:01
[빛과 소금-송세영] 대체복무의 형평성
군사정권 시절에는 어떻게든 군대를 면제받고 싶은 대학생들이 많았다. 지금보다 복무기간이 훨씬 길었고 병영 환경도 열악했다. 구타나 가혹행위, 안전사고로 숨지거나 부상당하는 이들, 사망 원인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의문사로 처리된 이들도 있었다. 학생운동을 하다 잡혀가서 징역형이 나오면 군 입대가 면제됐지만 전과자가 되는 일을 감수해야 했다. 독한 사람들 중에는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자해하는 이도 있었지만 육체적 고통이 수반되는 데다 회복 불가능한 장애가 뒤따랐다. 뇌물을 건네거나 브로커를 동원하는 일도 횡행했지만 명백한 범죄행위인 데다 ...
입력:2018-07-06 15:05:01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