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과 삶] 빛나는 밤

한강 야경


호롱불 시대가 가고, 30촉 알전구가 우리 집 밤을 밝히는 사건이 일어난 해는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이었다. 따지고 보면 그해 이전까지는 신라시대 혹은 조선시대 생활이나 매한가지였다. 나무 기둥 위의 초가지붕과 기와지붕, 재래식 화장실, 안방과 쪽문으로 통하는 부엌과 같은 가옥 구조는 반만년 동안 별반 변하지 않는 방식이었다. 미국 전기회사 기술로 경복궁 건청궁을 밝힌 백열등이 우리나라 전깃불의 시초다. 그해는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한 지 8년 만인 1887년이고, 경상도 시골 우리 집에 오기까지는 대략 80년이 걸렸다.

인류의 삶을 바꾸는 핵심은 불과 빛을 다루는 일이다. 불로 조리를 하고, 그릇과 무기를 만들고 문명을 구축했다. 불을 이용한 빛은 밤에도 낮과 같이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빛이 없으면 우리 눈은 암흑 그 자체가 된다. 가장 좋은 빛은 태양빛이다. 햇빛 상태에서 모든 물체는 제 색깔과 형체를 드러낸다. 햇빛은 계절과 기후, 시간에 따라 변한다. 그래서 어둠을 밝히는 방법으로 등불, 촛불, 남포등, 전구가 등장했다. 조명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류의 생산력은 기하급수로 늘어났다.

조명은 백열전구와 형광등을 거쳐 반도체 원리를 활용한 LED(발광다이오드)로 진화를 거듭해 왔다. LED는 빛의 색깔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미래의 감성조명으로 주목받는다.

빛을 다루는 기술에 힘입어 세계의 대도시는 밤새도록 빛난다. 오색 LED 조명이 활기를 더해주는 이 연말이 마냥 즐겁지는 않다. 밤낮없이 그 무엇인가를 좇아 살아가는 우리는 유사 이래 가장 풍요로움을 누리지만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이렇게 빛나는 밤이 지나고 나면 또다시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될 것이다. 서울의 빛나는 야경만큼 새해에는 아름다운 나날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성기혁(경복대 교수·시각디자인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