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그 얘기 좀 해요-문화계 팩트체크] 공연부터 전시까지 실황 생중계… 득일까 실일까

연극 ‘샌드백’의 한 장면(왼쪽 사진). ‘샌드백’은 복수와 희생, 용서가 반복되는 엇갈린 인생 속에서 방황하는 세 남자의 이야기를 그렸다. 오른쪽 사진은 뮤지컬 ‘찌질의 역사’의 한 장면. ‘찌질의 역사’는 청춘들의 서툰 연애사를 담았다. 내유외강컴퍼니·에이콤 제공


Q. 문화계 전반에 실황 생중계가 확산되고 있다. 극장에서만 보던 연극 뮤지컬 발레 오페라 등의 공연을 집에 앉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됐다. 과거 짤막한 하이라이트 영상을 일부 공개하는 데서 나아가 아예 공연 전체를 생중계하기도 한다. 심지어 전시를 중계하는 행사도 열린다. 생중계는 문화계에 약이 될까, 독이 될까.

A.
“영화를 보는 느낌이다” “생중계는 처음인데 현장 못지않게 재밌다” …. 지난 4일과 9일 각각 연극 ‘샌드백’과 김풍 원작 뮤지컬 ‘찌질의 역사’가 네이버TV로 생중계됐다. 댓글로는 이런 실시간 관람평이 오갔다. ‘샌드백’에는 카메라 6대가 동원돼 무대와 배우의 모습을 담았다. ‘찌질의 역사’에는 카메라가 무대 중심으로 앵글을 잡아 전반적인 현장 분위기를 살렸다. 관객과의 대화 행사도 인스타그램을 통해 생중계됐다.

최근 전시와 공연을 연이어 생중계하는 행사도 열렸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9일 네이버문화재단 온스테이지와 협업해 전시 중인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생중계했다. 이번 전시 생중계는 작가가 미술관 담당자와 야외에 전시된 설치 작품들을 보면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5분가량 진행됐다. 바로 가수 악동뮤지션과 파라솔의 공연 생중계도 이어졌다.

제작사들은 생중계의 가장 큰 이유로 홍보효과를 꼽았다. ‘샌드백’의 제작사 내유외강컴퍼니와 ‘찌질의 역사’의 제작사 에이콤 관계자는 모두 “초연과 창작이라는 특성상 대중에게 널리 알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생중계 시도 배경을 설명했다. 대형스타가 없는 공연이기 때문에 공연을 알릴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도 하다.

실제 홍보효과는 있는 걸까. 제작사들은 생중계가 티켓 판매로 연결될지는 판단을 유보했지만 인지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했다. 내유외강컴퍼니 측은 “아직 판단하기 이르지만 대중들의 피드백이 늘었다”고 평했다. 에이콤 측은 “홍보효과는 확실히 있다”며 “2만9000명 이상이 생중계를 시청했고 실시간 검색어에 올라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관객들이 좋아할 만한 부분도 있다. 티켓을 구하지 못하더라도 공연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뮤지컬 ‘인 더 하이츠’ 쇼케이스는 네이버를 통해 생중계가 진행됐는데 티켓을 구하지 못한 팬, 최대 7만5000명이 동시 접속해 아쉬움을 달랬다. 지방 거주자들도 서울의 극장으로 가지 않고도 공연을 보고, 문화 소외계층도 비용 부담 없이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생중계에 대한 우려도 있다. 김건표 대경대 연극영화과 교수는 “좋은 공연은 생중계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지만 무분별한 생중계는 자칫 극의 매력을 떨어뜨리거나 관객의 반감을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현재 일어나는 일을 현장에서 보는 의미가 있다”며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현장 고유의 분위기를 100% 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중계는 확대될 전망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8월 말쯤 이용자가 보다 쉽게 생중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공개할 예정이다. 전에는 제작사들이 네이버와 제휴해 공연을 생중계한 반면 앞으로는 제작사들이 알아서 생중계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도 잇따라 생중계 품질을 강화해 서비스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인다.

권준협 기자 gao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