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출판

[책과 길] 머리 복잡할 때 산수를 해야하는 이유





영화평론가 이동진은 지난해 6월 펴낸 ‘이동진 독서법’(예담)에서 자신이 책을 고를 때 쓰는 세 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①서문을 읽는다. ②목차를 본다. ③책의 3분의 2쯤 되는 페이지를 읽어본다. ①번이나 ②번은 많은 독서가가 즐겨 사용하는 방법일 것이다. 눈길을 끄는 건 ③번이다. 왜 그는 책을 고를 때 3분의 2쯤 되는 페이지를 읽어보라고 한 것일까.

이유는 3분의 2쯤 되는 지점이 “저자의 힘이 가장 떨어지는 때”여서다. 이 지점이 나쁘지 않다면 근사한 책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 책 ‘산수의 감각’은 어떨까. 3분의 2쯤 되는 페이지를 눈대중으로 가늠해 펼쳤을 때 등장한 챕터는 ‘우연의 일치는 왜 그렇게도 흔할까’였다. 제목부터 호기심이 동했는데 그 안에 담긴 내용은 더 인상적이었다.

시기는 1990년대 중반. A씨는 출근길에 포르쉐 911 시리즈 차량 2대를 동시에 목격했다. 도로에서 자주 보기 힘든 고급차를 한꺼번에 마주했으니 신기할 수밖에 없었다. A씨는 잠시 놀라워하다가 이 독특한 우연의 일치를 산술적으로 따져보기 시작한다.

당시 미국의 도로 위를 오가던 차량은 약 1500만대였다. 이들 차량 가운데 포르쉐 911은 8000대 수준이다. 최소한 2000대 중 1대는 포르쉐 911인 셈이다. 그렇다면 이 차량을 동시에 목격할 확률은 얼마인가. ‘2000분의 1×2000분의 1’인 400만분의 1이다. 엄청난 우연이다.

하지만 A씨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들어간다. A씨가 출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이다. 출근길 도로에서 목격하는 차량을 추산해보니 6000대 수준이었다. 퇴근길 역시 마찬가지다. 만약 주말을 빼고 83일(3.6개월) 동안 출퇴근을 하다보면 도로에서 차량 100만대를 목격하게 된다. 즉, 14개월에 한 번씩은 포르쉐 2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쯤 되면 ‘우연의 일치는 왜 그렇게도 흔할까’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다. 우연의 일치라는 게 수학적으로 계산해보면 당연한 이치일 때가 많다는 걸 알 수 있으니까 말이다.

‘산수의 감각’은 이렇듯 간단한 계산을 통해 세상의 난제들을 풀어낸 책이다. 미국 저술가인 조지 셰프너(71)가 쓴 에세이다. 미국에선 99년에 출간됐는데, 한국엔 2002년 ‘숫자를 보면 인생의 답이 보인다’(진명출판사)라는 제목으로 나왔다가 절판됐었다.

‘산수의 감각’은 ‘숫자를 보면…’의 개정판이다. 제목에 ‘수학’이 아닌 ‘산수’라는 단어를 넣은 건 사칙연산만으로도 인생의 이치를 살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다.

미적분이나 기하학처럼 독자들 머리 지끈거리게 만드는 셈법은 등장하지 않는다. 사칙연산을 할 수 있고 계산기 두드릴 힘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다.

본문은 총 38장으로 구성돼 있다. 학자들의 고담준론보다 훨씬 더 설득력을 띤 에세이가 간단없이 이어진다. 웬만한 자기계발서나 경영서보다 훨씬 더 근사하다. 유머를 곁들인 간명한 문장은 가독성을 배가시킨다. 저자가 펼쳐놓은 가감승제(加減乘除)의 세계에서 노닐다보면 독자들은 어느 순간 삶의 해답을 거머쥔 것 같은 느낌까지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나는 왜 이렇게 자주 실수를 저지를까 자책하는 독자에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격려의 메시지를 전한다. 만약 당신이 95%의 확신이 생길 때만 어떤 결정을 내린다고 가정해보자. 이 정도면 아주 신중한 선택을 하는 셈이니 실수는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95%의 확신’이 있다고 하더라도 선택을 반복하다보면 실수는 생길 수밖에 없다. ‘0.95×0.95×0.95…’ 식으로 계산하다보면 14번째 결정부터는 실수할 확률이 50%를 웃돌게 된다. 하루에 5번 뭔가를 결정한다고 치면, 일주일에 2번은 잘못을 저지를 가능성이 적지 않다. 1년이면 100번, 80년을 산다면 8000번 넘게 실수를 하게 되는 셈이다.

저자는 이 같은 분석을 늘어놓은 뒤 이런 말을 덧붙인다. “결국 실수라는 것은 현실에서 어쩔 수 없이 일어나게 된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떤 실수는 과감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용기를 증명하는 살아있는 증거이기도 하다는 점이다.”

수학이라면 진저리를 치는 독자에게 ‘산수의 감각’은 쉽게 손이 가지 않는 책일 듯하다. 저자 역시 이 사실을 모를 리 없다. 그래서인지 첫머리엔 ‘수학으로부터 도망친 사람들을 위해’라는 에세이가 등장한다. ‘수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역설한 내용이다.

직장인들이 왜 회의를 해야 하는지, 팀워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수학적으로 분석한 글도 주목할 만하다. 독자들은 책을 읽고 나면 이 책의 부제를 되새기며 살아가게 될 것이다. 부제는 다음과 같다. “생각이 복잡할 땐 산수부터 해보자.”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