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간 ‘나쁨’이상 18일인데 측정은 고작 한번에 그쳐… 그것도 4차로 이하 도로 제외
장비·인력 확충이 급선무
도로미세먼지는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와 타이어·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일반 미세먼지에 비해 인체에 더 해롭다. 하지만 정부 예산 지원 부족으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도로미세먼지 측정 차량은 6대에 불과하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도로미세먼지는 일반 미세먼지보다 입자가 더 작아 코 점막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폐나 뇌까지 직접 침투해 인체에 큰 피해를 준다. 또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의 절반(45.3%) 가까이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는 주요 도로와 주택가가 인접해 있어 도로미세먼지로 인한 직간접적 피해가 더 크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다.
하지만 환경공단이 수도권 도로미세먼지 측정을 위해 운영 중인 차량은 6대에 불과하다. 한 대당 하루 평균 측정 구간이 45㎞ 정도이기 때문에 6대를 일년 내내 운용해도 한 도로당 측정 가능한 횟수는 연간 6회 정도에 불과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두 달간 서울 지역에 미세먼지 수치가 ‘나쁨’ 이상인 날수는 18일이었다. 미세먼지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는 상황이지만 수도권 거주자의 ‘집 앞 도로 미세먼지’는 두 달에 한 번꼴로 측정되는 셈이다.
장비와 인력이 부족하니 측정 지역에도 한계가 크다. 현재 환경공단이 도로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도로는 ‘인도가 있는 왕복 4차선’으로 3489㎞가 측정 대상 도로다. 이렇다보니 수도권 4차선 이상 간선도로와 고속도로(고속화도로 포함) 3790㎞는 측정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인구 밀집 지역인 주택가의 4차선 이하 이면도로 역시 측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문가들은 측정 시설 확충과 측정 지역 확대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임영욱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교수는 15일 “수도권 전 지역의 도로미세먼지를 측정하기에 6대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라며 “통행량이 많을수록 도로미세먼지가 더 많이 쌓이고, 날리기 때문에 자동차 전용도로도 반드시 측정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유치원과 병원, 양로원 등 ‘민감 시설’이 있는 지역은 반드시 측정대상에 포함돼야 한다. 임 교수는 “어린이나 노인, 환자 등은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가 훨씬 큰데, 이면도로라는 이유로 측정을 안 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민감 시설이 있는 지역은 반드시 도로미세먼지 수치를 측정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공단은 장비와 인력이 보강되면 측정 빈도와 지역을 확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매년 측정 시스템 보강을 위한 예산을 요청하지만, 예산 확대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많은 예산이 들어가는 것도 아니다. 측정 장비 제작비용은 대당 1억6000만원이며, 1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하다. 인건비를 포함한 운용비용도 대당 연간 1억2600만원 정도다. 환경공단 관계자는 “측정 지역과 빈도는 정책적으로 결정돼야 할 문제”라면서도 “장비와 인력만 확충되면 훨씬 많은 지역을 지금보다 자주 측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승욱 신재희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