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개울물 마셔 보라… 신덕샘물보다 덜 오염”

24일 진행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장면. 왼쪽은 3번 갱도 내부의 모습으로, 폭파를 위한 폭약들과 선들이 어지럽게 걸려 있다. 풍계리=사진공동취재단
 
4번 갱도와 관측소가 폭파되는 순간이다. 폭파로 인한 먼지구름이 일어나고 있다. 풍계리=사진공동취재단
 
2번 갱도 입구가 폭파 이후 무너진 돌무더기와 흙더미로 완전히 막혀 있는 모습. 풍계리=사진공동취재단


북측, 방사능 없다며 권해… 2·4·3번 갱도 입구 둘러봐
폭약선 거미줄처럼 뒤엉켜 깊숙한 내부 폭파는 불분명
호텔 통제 취재진 대기령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갱도 내부가 일부 공개됐다. 북한은 갱도 입구와 내부 통로를 함께 폭파시켰다고 설명했지만, 갱도 깊숙한 곳까지 완전히 무너졌는지는 불분명하다.

한국 미국 중국 영국 러시아 5개국 취재단은 24일 오전 8시 19분 핵실험장 북쪽에 있는 2번 갱도 입구에 도착했다. 2번 갱도는 2∼6차 핵실험이 이뤄진 핵심 시설이다. 이곳에서 강경호 북한 핵무기연구소 부소장이 갱도 지도를 펼쳐놓고 폐기 방법과 순서를 브리핑했다.

우리 정보 당국은 그동안 2번 갱도에서 실시된 5차례 핵실험이 주 갱도에서 뻗어나간 가지 갱도에서 진행됐을 것으로 분석해 왔다. 이는 북측 지도를 통해 사실로 확인됐다. 2번 갱도를 비롯해 핵실험을 하지 않은 3번 갱도는 주 갱도, 가지 갱도로 된 이중 구조였다.

강 부소장은 “준비 갱도인 3, 4번 갱도는 이미 진행한 핵실험에 의해 자그마한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생생히 보존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취재단은 2번, 4번, 3번 갱도 순으로 내부를 들여다봤다. 갱도 안에는 자갈이 깔려 있고 폭약선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었다. 취재단은 각 갱도에서 300∼500m 떨어진 관람대에서 폭파 장면을 지켜봤다.

북측은 방사능 오염에 대비한 별도 조치는 하지 않았다. 취재단에게 노란색 안전모를 나눠준 게 전부였다.

한 기자가 군 막사에서 도시락 점심을 먹던 중 처마에 있는 제비집을 발견하고 “제비가 방사능에 민감하다던데”라고 얘기를 꺼내자 북측 관계자는 “그만큼 방사능이 없다는 얘기”라며 “개미도 방사능에 민감한데 이곳에 엄청 많다”고 말했다. 점심 식사 후 북측 기자는 남측 기자에게 3번 갱도 앞 개울물을 마셔 보라고 권하기도 했다. 북측 기자는 “(시중에) 파는 신덕샘물이 pH(산도) 7.4인데 이 물은 pH 7.15로 마시기 더 좋다. 방사능 오염이 없다”고 했다.

북측이 갱도 입구뿐 아니라 내부 기폭실까지 완전히 폭파했는지는 추가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현장에서 폭발음이 연쇄적으로 들렸지만 갱도 안쪽의 지반 침하는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2번 갱도 폭파 후에 입구 주변만 무너졌고, 산등성이는 그대로 유지됐다. 또 함께 폭파된 관측소 뒤편의 화장실은 말짱했다. 북측 관계자는 “밖에서 폭파되고 안에서 분출하지 않았나. 안과 밖 2번에 나눠서 터졌다”고 설명했다. 북측 인사들은 오후 4시17분 생활건물 2곳을 마지막으로 폭파한 뒤 무전으로 “모두 성과적으로 끝났다” “축하한다”는 말을 주고받았다.

북측은 취재단에게 휴대전화 유심칩을 제공한 뒤 돈을 내고 충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남측 취재진은 24일 밤 풍계리에서 원산으로 이동하는 특별전용열차 안에서 국제전화를 이용해 풍계리 갱도 폭파 소식을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취소 결정은 북측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관심사였다. 남측 취재진이 25일 원산 프레스센터에 도착해 노트북으로 관련 기사를 검색하자 북측 인사들이 모니터 앞에 모여 함께 기사를 봤다.

북측은 25일 오후 한때 취재단이 머무는 갈마호텔의 외부 출입구를 통제하고, 대기령을 내렸다. 갈마지구 견학 일정도 취소된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깜짝 방문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돌기도 했다.

풍계리=공동취재단,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