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청 원장의 무비톡] 스크린 밖 현실에 던지는 물음… “스스로 인정하고 사랑하고 용서할 수 있나?”



정신과 전문의 정동청 원장이 영화와 드라마를 정신의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칼럼입니다.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2012년·감독 데이비드 러셀)의 주인공 팻 솔리타노(브래들리 쿠퍼 분)는 법원 명령으로 8개월째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인물이다. 고등학교 역사 교사였던 그는 아내가 동료 교사와 외도하는 장면을 목격하고는 심한 폭력을 휘두르고 만다. 징역행을 피할 수 있었던 건 법원이 당시 그의 상태가 양극성 장애가 발병했다는 것을 인정했기 때문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의료진의 권고를 무시하고 퇴원을 강행했지만, 그는 아직 사회에 복귀할 준비가 돼 있지 않았다. 정신과 질환을 인정하지 않고는 약의 복용을 거부하고, 부인이 떠난 것을 받아들이지 못해 법원의 접근금지명령을 무시하면서까지 계속 만남을 시도한다. 팻으로 분한 브래들리 쿠퍼는 양극성 장애 환자 연기를 훌륭하게 소화했다.

양극성 장애는 흔히 조울증이라고도 불리는 정신과 질환이다. 간략히 설명하면 조증과 우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병이라고 보면 된다. 환자들은 조증에서 기분이 들뜨며 자신감이 상승한다. 수면 시간이 줄고 과소비를 하거나 하고픈 일을 참지 못하기도 한다. 이런 모습은 영화에서도 그대로 묘사된다. 통제가 안 되는 주인공의 모습에 관객들은 조마조마해진다.

팻은 우연히 티파니(제니퍼 로렌스 분)를 만나게 된다. 그녀 역시 여러 문제를 안고 있었다. 남편이 갑작스레 사망한 후 회사 동료들과 잠자리를 갖다 해고당한 인물이었다. 팻은 티파니에게 끌리지만, 자신이 유부남임을 강조하며 도망치듯 자리를 박차고 나온다. 집에 온 그는 또다시 부인의 외도 장면이 떠올라 혼란에 빠져 실수로 어머니를 때리고 아버지와 몸싸움을 벌이는 등 심각한 소동을 벌이게 된다. 이튿날 팻은 끊었던 약을 다시 먹기 시작한다. 더 이상 이렇게 살아갈 수는 없다고 결심을 하는 장면이다.

현실에서도 정신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이와 유사한 경험을 겪곤 한다. 환자들은 자신에게 정신과 질환이 있다는 사실을 일종의 ‘결함’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상황을 인정하고 해결 방법을 빨리 찾을수록 일상으로의 돌아가기도 쉽지만, 상당수 환자들은 절망하고 두려움에 빠져 본인의 상황을 회피한다.

작중에서 티파니는 “스스로를 인정하고 사랑하고 용서할 수 있냐”고 펫에게 묻는다. 이 물음은 영화 밖 현실에도 적용된다. 상상했던 ‘나’와 현실에서의 ‘나’는 다를 때가 많다. 이 차이를 부정할수록 인생의 경로를 바로잡을 기회도 점점 멀어지게 된다. 자신의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인정할 때 진정한 변화가 시작된다.

토닥거리며 댄스 대회 출전 연습을 하던 그들은 서로의 문제를 거침없이 꼬집는다. 독설에 가까운 솔직함은 이내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그러는 사이 이들은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된다. 팻과 티파니의 사랑은 어떤 결실을 맺게 될까. 그리고 우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살고 있을까.

<서울청정신건강의학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