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 만에 21년 묵은 마라톤 한국신 경신, 김도연의 도전

한국 여자마라톤 국가대표 김도연(25)이 지난해 5월 전국종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일반부 1만m 경기에서 1위로 골인하고 있다. 5000m와 1만m의 강자였던 김도연은 마라톤을 시작한 지 2년도 안 돼 한국 신기록을 새로 썼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는 바레인 선수들을 꺾고 금메달을 따겠다고 다짐했다. 대한육상연맹 제공




김도연(25·케이워터)은 지난 3월 서울국제마라톤 여자부문에서 2시간25분41초로 21년 묵은 한국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마라톤을 시작한 지 2년도 안 된 선수가 대기록을 세운 것이다. 원래 5000m와 1만m를 뛰던 그가 마라톤 풀코스 3번째 도전 만에 신기록을 세우자 육상계는 충격에 빠졌다. 5000m와 1만m도 장거리로 분류되지만 42.195㎞를 달리는 건 완전히 다른 얘기다.

‘타고난 마라톤 선수’라는 김도연은 현재 일본 훗카이도에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여자마라톤 금메달을 목표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5000m 한국 신기록도 갖고 있는 김도연이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마라톤 한 종목에 ‘올인’한다. 김도연은 31일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쉬는 날 없이 1주일에 200㎞를 소화하고 있다”며 “목표는 당연히 금메달”이라고 당찬 포부를 드러냈다.

김도연의 천재성은 육상선수가 된 과정에서 엿볼 수 있다. 중학교 1학년 때 학교에서 체력장을 했을 때 체육 교사가 “달리기에 소질이 있다”며 선수생활을 권했다.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육상을 배웠는데, 초등학교 때부터 선수로 살아온 친구들과 격차가 없었다.

김도연은 “다른 친구들이 힘들어할 때 나는 왠지 힘들지 않았다”고 떠올렸다. 누가 가르치지 않아도 달리는 폼이 좋고 주법이 효율적이었던 그는 자연스럽게 장거리 선수로 자랐다. 김도연은 “타고났다는 말씀을 해 주시지만,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도 알아주셨으면 한다”며 웃었다.

새벽부터 하루 30㎞씩 달리는 강훈련이 계속될 때면 ‘포기하고 싶다’는 생각도 많이 들었다고 한다. 그의 마음을 다잡게 해준 건 열정적으로 달리는 아마추어 생활체육인들의 모습이었다. 김도연은 “마라톤 동호인들은 직업이 아닌데도 열심히 훈련을 하더라”며 “‘직업으로 달리는 사람이 투정을 부릴 게 아니구나’ 하고 생각하게 됐다”고 말했다.

마라톤 입문은 강원도청 시절 그를 지도하던 최선근 감독의 권유를 따르면서다. “올림픽에선 5000m, 1만m보다 마라톤에서 더 승산이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장거리 강자였지만 마라톤은 어려울 것이라는 시선도 있었다. 김도연은 “보란 듯이 잘 뛰고 싶다는 오기가 생겼다”고 회상했다.

한국 신기록을 세운 지난 3월 서울국제마라톤은 김도연에게 ‘여유 있게 달린 경기’였다. 노래를 흥얼거리며 뛰었다고 해 화제가 됐다. 김도연은 “리듬을 찾으려 노래를 떠올리긴 했다”며 “(앞으로) 2시간23분대까지는 충분히 기록을 앞당길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마라톤의 매력도 조금씩 깨달아 가고 있다. 김도연은 “트랙 종목과 달리 마라톤은 거리에서 시민들이 응원을 많이 해 주신다. 그래서 더욱 즐길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이미지트레이닝으로 마음도 더욱 다잡고 있다. 그동안 한국 신기록을 깨는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며 매일 30㎞를 달렸다면, 일본 전지훈련에선 태극기를 휘날리는 장면을 상상한다. 김도연은 “결승 테이프를 끊는 장면을 되새긴다. 아시안게임에서 1위로 들어와 태극기를 들고 트랙을 도는 상상을 한다”고 했다.

최대 라이벌은 바레인 선수들이다. 바레인은 형편이 어려운 아프리카 10대 육상선수들을 귀화시켜 국가대표로 내세운다. 김도연은 “케냐 출신 바레인 선수들의 기록이 좋다”며 “인도네시아의 더운 날씨가 변수다. 정신력으로 극복하겠다”고 다짐했다.

대표팀에서 마라톤을 지도하는 김영근 코치(케이워터 감독)와도 잘 맞는다. 김도연은 “지도자가 자신감이 넘치니 선수로선 불안한 게 없다”고 말했다. 한국 신기록 작성 이후 ‘미녀 육상선수’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관심도 높아졌다. 김도연은 “열심히 하는 모습을 좋게 봐 주시는 것이라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운동선수라 하면 투박하고 거칠 것이라는 이미지로 생각하겠지만, 육상선수 가운데 모델 같은 사람도 많다”며 웃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