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최고지도자 첫 서울 방문 명문화, 복잡한 변수와 시나리오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문’ 서명을 마친 뒤 노광철 북한 인민무력상과 악수하고 있다(위 사진). 이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악수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된 이후 처음으로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서울에 온다. 남북 정상은 19일 ‘9월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예고했다. 하지만 북핵 문제와 종전선언을 둘러싼 남·북·미 간 복잡한 협상이 진행 중이라 시기와 형식을 예단하기는 어렵다. 김 위원장 선친인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대한 화답 의미로 서울 방문을 약속했지만 끝내 지키지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발표한 평양공동선언 제6항에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적시했다. 단순한 구두 약속을 넘어 문서로 합의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김 위원장이 연내에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달에는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한·미 정상회담 등의 일정이 잡혀 있어 사실상 방문이 불가능하다. 아무리 빠르게 방문 협의를 추진한다고 해도 10월 중순은 지나야 가능하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서울 방문이 전례 없는 파격임을 감안하면 한 달 남짓한 기간에 준비를 마치기는 쉽지 않다. 특히 평양 주민에 대한 전면적 통제가 가능한 북한과 달리 우리는 우익·보수 세력의 반발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무엇보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서울 답방도 영향을 받을 것이 분명하다. 문 대통령은 오는 24일 뉴욕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김 위원장의 대미(對美)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회담 결과가 좋으면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이뤄지겠지만 반대일 경우 내년 이후로 늦춰질 수 있다.

정부가 김 위원장의 방문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을 서울로 초청하는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남북 및 북·미 협상이 ‘톱다운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아이디어가 논의될 수도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추진되면 상황은 조금 더 복잡해진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함께 서울을 방문하려면 10월 말이 사실상 유일한 옵션이다. 하지만 이 역시 북·미 협상이 원만히 진행됐을 때 가능한 일이라 낙관하기 어렵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뿐 아니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초청해 ‘2018 서울 종전선언’을 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북한 정권 내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반대하는 기류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평양 고려호텔 브리핑에서 “통일전선부 주요 인사가 ‘서울 방문에 대해 주변에서 전부 다 반대했다. 이것은 완전히 김 위원장의 독자적 결정이었는데 (주변에서) 이를 막지 못했다’고 말했다”며 “그만큼 우려가 큰 것 같다”고 전했다.

최승욱 기자, 평양공동취재단 applesu@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