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노벨경제학상에 미국 윌리엄 노드하우스·폴 로머 교수 공동 수상



윌리엄 노드하우스(77) 미국 예일대 교수와 폴 로머(62) 뉴욕대 교수가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노드하우스 교수는 기후변화의 경제적 효과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로머 교수는 ‘내생적 성장’ 이론을 주창한 경제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2018년 제50회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로 두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이들은 글로벌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관해 연구해 왔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노드하우스 교수는 1980년대부터 기후변화 경제학을 선도적으로 연구한 1세대 경제학자다. 미국의 주류 경제학자들이 기후 문제에 관심이 없던 시절 그는 동태·통합적 기후변화 모형(DICE·Dynamic Integrated Climate Economy modeling)을 개발해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서울대 홍종호 교수는 “경제학자로서 환경 규제에 따른 비용-편익 효과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봤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온실가스 배출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각국에 ‘탄소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관련해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제협약 등을 연구했다. 노드하우스 교수의 이론은 세계 각국의 환경 관련 정책에 영향을 끼쳤다. 저서 ‘기후카지노’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스승인 폴 새뮤얼슨과 ‘경제학(ECONOMICS)’을 공동 집필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공동 수상자인 로머 교수는 경제 성장이 경제 내적인 요인에 의해 이뤄진다고 주장한 경제학자다. 이전까지 로버트 솔로를 비롯한 신고전학파가 ‘경제 성장은 경제체제 밖에서 외생적으로 발생한 기술 진보에 의해 일어난다’고 본 것과 반대다. 일례로 생산 공정 개선은 외부에서 우연히 주어진 기술진보가 아니라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경제주체들이 이뤄낸 기술 진보다. 로머 교수는 이를 ‘내생적 성장’이라고 표현했다.

로머 교수가 주목한 내생적 성장의 주요 동력은 ‘지식’이다. 지적 자본은 다른 자본과 달리 공공재적 성격을 강하게 띤다. 축적된 지식을 경제주체들이 공유하고 생산에 활용하면서 경제 전체 생산량 증가 폭은 더 커진다는 게 이론의 핵심이다. 때문에 그는 축적된 지식을 활용할 인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로머 교수는 2016년 10월 세계은행(World Bank)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임명됐지만 실무진과의 갈등 끝에 지난 1월 사임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