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금강산 그림 초본 7점 나왔다

한국국학진흥원이 최근 발굴한 조선시대 진경산수 대가인 겸재 정선의 금강산 그림 초본 7점.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조선시대 진경산수 대가인 겸재 정선이 그린 금강산 그림 초본 7점이 빛을 보게 됐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최근 정선(1675∼1759)이 그린 금강산 그림 7점을 발굴했다고 18일 밝혔다. 경북 영양군 주실마을의 월하 조운도(1718∼1796) 후손들이 최근 이 그림들을 국학진흥원에 기탁한 것이다.

7점 모두 종이 바탕에 수묵으로 그렸고 화폭 크기는 각각 세로 40㎝, 가로 30㎝ 정도다. 그림마다 왼쪽 또는 오른쪽 윗부분에 ‘비로봉’ ‘비홍교’ ‘마하연’ ‘정양사’ ‘보덕굴’ ‘구룡폭’ ‘단발령’이라는 각각의 제목과 ‘겸재초’(謙齋草)라는 서명이 적혀 있다. 그림 제목과 서명은 있으나 창작 동기나 감상 등을 표현한 ‘화제’(畵題)나 인장은 없다.

이번에 공개된 겸재의 금강산 그림은 화폭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대체로 내금강 명소들을 부감법이나 원형 구도로 요약해 표현했다. 특유의 미점(米點) 토산(土山)과 수직 준법으로 처리한 바위산이 대조를 보이는 표현 등은 겸재 금강산 화풍 전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는 평가다.

겸재는 쓸어내리듯 휘두른 빠른 붓질로 단번에 그리는 일필휘쇄(一筆揮灑) 필법으로 유명하다. 또 실제 경치를 보이는 대로 그리지 않고, 산수 본질을 꿰뚫어 자기 창작 원리에 맞춰 재구성했다고 한다.

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이 그림들은 겸재 정선이 그린 금강산 가운데 초본(草本) 내지 조본(祖本)의 이중성격을 띠고 있다”며 “진경산수화 양식 성립 과정이나 겸재 그림의 구도와 필법, 표현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