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관계에 정통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내년에 열리더라도 우리 정부의 입장은 연내에 종전선언을 한다는 것”이라며 “(북·미 간) 실무협상에서 얘기가 되면 연내 종전선언도 불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 간 종전선언이 우리의 입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종전선언에 대한 문재인정부의 강한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제안한 북·미 고위급 회담과 관련해 “아직 날짜와 장소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북한이 구체적인 답을 주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확답을 주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북한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협상의 목표는 핵무기·핵시설 폐기이며 이는 북한이 모든 것을 걸고 가는 게임이기 때문에 철저히 준비해 나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정책특별대표 간 비핵화 실무협상에 대해선 “북·미 최고위급 간 합의이기 때문에 이뤄질 것”이라며 “북·미 고위급 회담과 실무협상은 선후의 문제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북·미 고위급 회담의 북측 대표로 김정은 국무위원장 여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나설 가능성은 조금 낮게 봤다. 이 관계자는 “미국도 확인하지 못하는 것 같다”며 “김 부부장이 중요 회의에 많이 참석하고, 북한 체제 특수성으로 (김씨) 일가가 역할을 맡을 수는 있겠지만 당장 준비해서 (북한) 밖으로 나올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방문과 관련해선 “북·미가 2차 정상회담 개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비핵화 진척이 이뤄지지 않겠느냐”며 “이 과정에서 남북 정상이 서울에서 만날 여건도 만들어질 수 있다고 본다”고 내다봤다. 북·미 대화 진전이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지난 21일 미국을 방문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비건 특별대표 등을 만나 대북 정책을 조율하고 이날 귀국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