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북·미 고위급 회담 이달 말 가능성, 김정은 연내 답방도 살아 있는 카드



북한의 연기 요청으로 한 차례 무산됐던 북·미 고위급 회담이 이달 말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 이를 신호탄 삼아 연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내년 초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중 정상회담까지 숨가쁜 비핵화 협상이 이어질 전망이다.

북·미 고위급 회담 재개 신호는 곳곳에서 포착됐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최측근인 앤드루 김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은 지난 14∼17일 한국을 방문해 정부 당국자들과 면담했다. 김 센터장은 당초 판문점에서 김성혜 통일전선부 통일전선책략실장과 만나기 위해 방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접촉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김 실장은 경기도와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위)가 공동주최한 국제대회 참석 차 방남할 예정이었다가 막판에 일정을 취소했다.

외교 소식통은 18일 “김 센터장은 북·미 교착을 풀기 위한 확실한 미션을 갖고 왔다”며 “미 행정부의 대북 막후 조율 창구인 그가 움직였다는 것은 북·미 고위급 회담 준비가 막바지에 이르렀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날 금강산관광 20주년 기념행사 참석차 방북하기 전 페이스북에 “북·미 고위급 회담은 빠르면 이번 주 중, 늦어도 11월 28일께 열릴 수 있다고 예상한다”고 적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이 이달 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11월 30일∼12월 1일)가 열리는 아르헨티나를 방문할 계획이어서 12월로 넘어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대북 강경론자로 꼽히는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이 ‘2차 북·미 정상회담 전 북한에 핵·미사일 목록을 요구하지 않겠다’고 한 것도 대화 재개 의지로 해석된다. 펜스 부통령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 NBC방송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다음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핵 개발 시설을 확인하고, 핵 폐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두 정상이 만나는 자리에 북한이 검증 가능한 핵 신고 계획을 갖고 와야 한다는 강한 압박이지만, 핵 신고를 회담 개최의 전제조건으로 삼지는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비핵화 속도조절을 강조해온 미 행정부로서는 ‘일단 만나서 얘기하자’는 뜻을 북한에 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방북 시기를 내년으로 못 박은 것 역시 긍정적인 신호다. 시 주석은 17일(현지시간) 파푸아뉴기니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초청 사실을 공개하며 “내년에 시간을 내 방북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후에 방북하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북·미 대화에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북·중이 밀착해 비핵화 전선을 흐트러뜨릴 수 있다는 우려는 일단 사라진 셈이다. 한·중 정상회담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렸다.

이와 관련해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현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 주석은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한반도 문제 해결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또 “양 정상은 한반도 문제 해결의 시점이 무르익어가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