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출판

“악과 폭력의 지난 4년… 분노를 썼다”

나희덕 시인은 최근 서울역에서 가진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대표작 ‘푸른밤’에 등장하는 ‘너’가 누구냐는 질문에 “누군가에겐 좌절된 사랑일 수도 있고, 시인에게는 궁극에 도달한 시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종학 선임기자
 
나희덕 시인. 최종학 선임기자




시인에게 지난 시간은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였다. 세월호 참사 진상 조사를 요구하는 선언에 서명했다는 이유로 그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지난 정부는 이 명단에 오른 문인들을 감시하고 차별했다. 그런 일을 겪으며 4년 만에 여덟 번째 시집 ‘파일명 서정시’(창비)를 낸 나희덕(52)을 최근 서울역 한 카페에서 만났다.

“지난 4년은 정치적으로 여러 억압과 배제가 많았던 시간이다. 사회 전체가 최소한의 합리성을 잃어버렸다. 한 개인으로서 굉장히 큰 울분을 느꼈다. 흔히 내 시에서 모성, 연민, 인내 등의 단어를 많이 떠올리는데 그런 것만으로는 이해하고 수용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았던 것 같다. 여기 실린 많은 시들이 사회적 분노에서 출발했다.”

어떻게 지냈느냐에 대한 답이었다. 다만 격한 단어를 발화하는 동안에도 그의 표정은 온화했다. “그들은 <서정시>라는 파일 속에 그를 가두었다/ 서정시마저 불온한 것으로 믿으려 했기에… 이 사랑의 나날 중에 대체 무엇이 불온하단 말인가/ 그들이 두려워한 것은/ 그가 사람의 마음을 열 수 있는 말을 가졌다는 것.”(‘파일명 서정시’ 중)

표제작 제목은 옛 동독 정보국이 시인 라이너 쿤체를 감시하며 작성한 자료집 이름에서 따왔다. 서정시조차 검열의 대상이 되는 시대의 어둠을 기록한 시다. “너에게로 가지 않으려고 미친 듯 걸었던/ 그 무수한 길도/ 실은 네게로 향한 것이었다”(‘푸른밤’ 중)는 시구로 유명한 서정 시인인 나희덕. 그가 이번엔 문화계 블랙리스트, 세월호 참사, 성폭력 등 사회 문제를 다룬 시를 30편 가까이 쏟아냈다.

그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사회적 비극과 고통이 오래 지속됐다. 악과 폭력이 (내게) 강하게 느껴지니까 서정시를 쓰기가 쉽지 않았다. 독일 시인 브레히트가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라고 했던 것처럼. 고통의 실체가 무엇인지 천착했다. 결국 그 고통은 내 내면의 고통과도 맞닿아 있더라.”

수록작들을 보면 시인이 사회적 고통을 자기 내면으로 육화(肉化)했다는 느낌이 든다. 1989년 등단한 그는 첫 시집 ‘뿌리에게’(1991)에서 “나의 시가 그리 향기롭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계속 쓰는 이유는, 시란 내 삶이 진솔하게 육화된 기록”이라고 했다. 이 고백은 30년간 시를 쓴 그에게 여전히 유효한 듯하다.

그는 “나 같은 사람은 삶을 치르는 만큼 시를 쓴다. 경험이 체화되지 않으면 시를 못 쓴다. 책도, 다른 예술도, 경험도 내 안에 육화될 때만 쓴다. 다만 과거에는 경험을 ‘재현’하는 데 초점을 뒀다면 언젠가부터 우연히 떠오른 모호한 문장, 이미지를 결합해서 ‘생성’하는 방식으로 시작을 많이 한다”고 했다.

지난 시간은 개인적인 아픔을 겪는 시간이기도 했다. 시인은 지난해 첫 딸에게 희덕(喜德)이란 이름을 지어주고, 염소젖을 짜 먹였던 아버지를 영원히 떠나보냈다. 시인은 “함석헌의 영향을 받은 아버지는 평생 재가 수도자와 같은 삶을 살았다. 신앙인이었기 때문에 죽음을 단절로 여기지 않고 영원한 안식을 누린다고 생각하셨다”고 소개했다.

시집에는 아버지의 삶과 죽음(‘나평강 약전’, ‘어떤 피에타’ 등), 이별(‘금환일식’) 등 개인적 아픔에 대한 시도 25편 있다. 그는 “죽음 앞에서 한 인간이 보여주는 태도가 결국 삶의 내공을 보여주는 것 같다. 나도 이제 쉰을 넘겼고 ‘어떻게 살 거냐’보다 ‘어떻게 죽을 거냐’는 것에 대해 더 생각하게 됐다”고 했다.

앞으로의 계획을 물었다. “나는 어떤 계획을 세우지 않는 편이다. 순간순간 내가 대면하고 있는 책, 사람, 지금 하고 있는 수업, 그것만 생각한다. 삶의 지향은 있지만 언제까지 꼭 이뤄야 할 목표를 보유하지 않으려 한다”고 했다. 그는 인터뷰 후 바로 기차를 탄다고 했다. 충남 홍성의 한 고교에서 강의가 있다고 했다.

자주 외부 강의를 가냐는 물음에 “사실 시간도, 차비도 많이 들지만 톡톡 튀는 청소년들을 만나는 건 즐거운 일”이라며 활짝 웃었다. 조선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인 나희덕은 ‘김수영문학상’, ‘현대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명료하고 절제된 언어로 전통 서정시의 미학을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