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세금 더 낼거면 그냥 자식놈 미리 주고 말지.”
올해 자녀 또는 배우자에게 증여한 주택 물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투기 억제 기조가 이어지면서 정부와 다주택자들의 힘겨루기가 계속되는 양상이다.
29일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전국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전국 주택 증여건수는 총 9만2178건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증여건수인 8만9312건을 10개월 만에 이미 넘어선 것이다. 서울(2만765건)만 놓고 봐도 1∼10월에 이미 증여건수가 2만건을 넘어서 지난해(1만4860건)보다 40% 가까이 증가했다.
이처럼 주택 증여가 급증한 배경에는 정부의 다주택자 양도세, 종합부동산세 중과 등 연이은 규제 기조가 자리하고 있다. 다주택자들이 정부가 기대하는 대로 집을 팔기보다는 움켜쥐는 것을 선택하고 증여 등 절세 방법을 발 빠르게 찾고 있다는 방증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집값 약보합세 및 거래량 정체가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 상황은 결국 다주택자들이 숨을 고르고 세금폭탄에 대해 각자의 계산기를 두드리는데 따른 것”이라며 “증여 역시 정부의 다주택자 압박에 대한 출구전략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증여 신고건수는 지난 4월 양도세 중과 시행을 앞두고 연초부터 늘기 시작해 3월 1만1799건 신고로 연중 최대를 기록했다. 이후 한동안 안정세를 보이다가 9월 추가 대책 및 공급 정책 발표 전인 7월 9583건, 8월 1130건으로 재차 급증했다.
9·13 대책 효과가 시장에 퍼지기 시작한 지난달 증여건수 역시 1만270건을 기록해 전월 대비 36.2% 증가했다. 정부가 2주택 보유자들에게 종부세 중과를 결정하면서 내년 세 부담 급증 전망을 염두에 둔 다주택자들의 증여 수요가 몰렸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이처럼 절세목적의 증여 트렌드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내년 서울·수도권 인근 공시가격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향후 보유세 부담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 부부 공동명의 주택이나 자녀 조기 증여 수요는 점점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