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냉전 종식·핵군축 이끈 ‘아버지 부시’ 서거… 美, 11년만에 國葬

조지 H W 부시(왼쪽) 전 미국 대통령의 부인 바버라 여사가 2012년 6월 메인주 케너벙크포트에 위치한 부시 가문 소유 별장에서 남편의 이마에 입을 맞추고 있다. 부시 전 대통령 부부는 이날 미국 프리미엄 영화 채널 HBO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시사회 참석차 이곳을 찾았다. 바버라 여사는 결혼 73년 만인 올해 4월 별세했다. 남편 부시도 11월 30일(현지시간) 영면했다. AP뉴시스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 역사의 막을 올린 제41대 미국 대통령 조지 H W 부시가 94세를 일기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영면했다. 40년 넘게 이어진 냉전시대 종식을 이끌고 국제사회에서 핵 군축의 기틀을 닦은 국제정치의 거목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아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성명을 내고 “경이로운 94년을 보내신 아버지가 돌아가셨음을 애통한 마음으로 알린다. 그는 최고의 아버지였다”고 밝혔다. 수년간 파킨슨병을 앓던 고인은 최근 며칠간 건강이 급격하게 악화됐고 텍사스주 휴스턴의 자택에서 끝내 눈을 감았다. 주로 ‘아버지 부시’라고 불렸던 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 사상 최연소 전투기 조종사였고,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운 인물이기도 하다.

부시 전 대통령은 ‘전통적 가치에 헌신하며 품위 있는 미국’을 꿈꿨다. 그는 30년 전 공화당 대선 경선 승리 연설에서 “미국을 더 나은 국가로 만드는 것이 내 목표다. 반드시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냉전체제 종식에 기여하며 세계사에 큰 획을 그었다. 그는 1989년 12월 지중해 몰타 해역 선상에서 열린 미·소 정상회담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양국의 군비축소와 경제협력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이 회담은 소련의 경제개방과 동독의 민주화를 가속화하는 데 일조했다. 결국 이듬해인 90년 동·서독은 통일을 이뤘고 91년에는 소비에트연방 해체로 이어졌다. 이후 미국은 세계질서를 이끄는 초강대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뉴욕타임스는 “그는 ‘외교의 달인’이었다”고 평가했다.

부시 전 대통령은 전 세계적인 핵 군축, 비핵화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다. 그가 대통령으로 재임하던 91년 7월 미국과 소련은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을 체결했다. 향후 7년 동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포함한 장거리 핵무기를 양국이 30%, 38%씩 감축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소련이 붕괴된 후 협정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부시 전 대통령이 탁월한 외교력을 발휘한 덕에 핵을 보유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4개국이 92년 협정 의정서에 서명할 수 있었다.

부시 전 대통령이 주도한 핵 군축은 지금까지도 한반도 최대 이슈인 비핵화와도 연결된다. 그가 91년 단행한 주한미군 전술핵 철수는 한반도 안보지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 같은 해 12월 남측과 북측은 남북 화해, 불가침, 교류협력을 골자로 한 ‘남북기본합의서’를 채택한 데 이어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까지 채택했다. 이는 한반도 비핵화의 기본 골격이 됐다. 그는 92년 우리 국회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 자리에서 부시는 “한국은 냉전의 상처를 극복하고 다시 하나가 될 것”이라며 “북한은 비핵화 공동선언의 핵사찰과 검증 부분을 실행해야 한다”고 연설했다.

부시는 안보 이슈에 대해선 단호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90년 8월 쿠웨이트를 침공하자 6일 만에 미국 파병을 선언하고 걸프전을 이끌었다. 이는 91년 1월에는 일명 ‘사막의 폭풍’ 작전하에 미군 43만명과 다국적군 12만명이 투입돼 공습으로 이어졌다. 한 달 후 이라크군은 항복했고 쿠웨이트에서 퇴각했다.

물론 세계평화를 위한 긍정적 측면만 있었던 건 아니다. 힘을 통한 안보 유지 명분하에 지나치게 군사력 강화에 치중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잘나가던 부시 전 대통령의 발목을 잡은 건 악화된 경제 성적이었다. 치솟는 실업률과 전임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 시절부터 누적됐던 재정 적자는 그의 임기 내내 골칫거리였다.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표했던 세금 인상은 민심이 돌아서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빌 클린턴은 92년 대선에서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라는 슬로건으로 부시를 공격했고, 부시는 결국 재선에 실패했다.

하지만 부시는 퇴임 후에도 여전히 존경받는 전직 대통령으로 남았다. 그는 인권 및 자선단체에서 왕성한 봉사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2005년 동남아 지진해일(쓰나미) 사태 당시 클린턴 전 대통령과 함께 구호와 모금 활동을 벌여 주목을 끌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