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원전 축소로 줄어든 일자리, ‘해체 시장’이 대안





원자력발전소 축소는 원전산업의 침체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원전이 있는 지역경제와 관련 일자리에 타격을 주게 된다. 전문가들은 ‘원전 해체산업’을 해법으로 본다. 중장기적으로 인력 부족에 시달릴 원전 해체시장에서 돌파구를 찾으라는 것이다.

원전의 해외 수출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고, 원전 인력의 해외 진출을 유도하는 것도 대안이다. 다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 영향으로 해외 원전 수주는 가시밭길을 걷고 있다.

4일 글로벌 컨설팅업체 딜로이트와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원전산업 생태계 개선 방안’ 연구용역의 중간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원전 건설시장 인력 수요는 해체시장으로 옮겨갈 전망이다. 2030년까지 해체작업에 들어가는 원전은 국내에만 7기다. 전 세계적으로 259기에 이른다. 원전 해체에 필요한 인력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이다.

보고서는 원전 해체인력을 양성해 원전산업 침체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특히 한국은 원전 해체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올해 기준으로 원전 해체 전담인력은 99명에 불과하다. 해체산업 관련 인력까지 포함하더라도 모두 2181명에 그친다. 반면 2030년 국내에서 필요한 원전 해체산업 전담인력은 4383명으로 추산된다. 4200여명의 전담인력을 육성하든지, 해외에서 초빙해야 할 판이다.

전문가들은 기존 원전 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을 재교육해 해체산업 인력으로 육성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이렇게 하면 고용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해체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독일은 2022년까지 모든 원전 가동을 중단할 예정인데, 기존 원전 인력을 해체 및 핵폐기물 분야 직종으로 전환토록 할 예정이다.

원전 수출도 기술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한국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전 수주를 시작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체코, 영국에 원전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해외 원전시장 진출을 위해 해외 사업 현황과 기술 흐름을 읽어낼 수 있는 인재 양성에 정부가 힘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국의 원전 수출은 딜레마에 빠져 있다. 장기적으로 원전 비중을 줄이면서 한국형 원전을 해외에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원자력 전문가는 “공격적 마케팅을 통해 원전 수주에 열을 올리는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은 국내 탈원전 정책 입지가 흔들릴까 제대로 홍보조차 못하고 있다. 정부가 경쟁력을 유지할 대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