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김정은 생일상 차려준 시진핑… 수교 70주년 맞아 ‘新밀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벤츠 풀만가드 리무진 차량이 8일 경찰 오토바이 호위를 받으며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으로 향하고 있다. 뒷문 쪽에 금색의 국무위원장 휘장이 보인다. 이 차량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 등 김 위원장의 외교 일정 때마다 모습을 드러냈다. AP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8일은 그가 35번째 생일을 맞는 날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베이징에 도착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회담을 하고 환영 만찬을 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 날짜와 생일이 겹쳐 시 주석과 생일파티를 겸한 만찬을 함께한 셈이다. 게다가 올해는 북한과 중국이 1949년 10월 6일 수교를 한 지 70주년을 맞는 해다. 김 위원장은 새해 신년사 발표 직후 중국을 방문함으로써 북·중 ‘밀월’을 과시하려는 의도를 숨기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과 미·중 무역협상이 동시에 이뤄진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이 회담을 한 인민대회당과 미·중 무역협상이 진행된 상무부 청사의 거리는 불과 1.4㎞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국이 미·중 무역협상 기간 김 위원장을 초청해 북·중 밀착 구도를 부각시키면서 미국에 시위를 하는 제스처란 해석도 나온다.

중국은 지난해 1월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를 타고 베이징을 방문할 때와 마찬가지로 이날도 경호에 극도로 신경을 쓰는 등 국가원수급 의전을 펼쳤다. 김 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 등 방중단을 태운 북한 전용열차는 전날인 7일 오후 평양을 출발해 8일 오전 10시55분쯤(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역에 도착했다.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가 전날 밤 중국 단둥 기차역을 통과한 뒤 선양역에 도착하자 쑹타오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등 중국 인사들이 영접했다.

이어 베이징역에선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급 인사가 직접 마중을 나왔고, 김 위원장 일행의 차량은 수십대의 사이드카 호위를 받으며 역을 빠져나갔다. 김 위원장은 이어 오전 11시16분쯤 숙소인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과 인민대회당에서 회담을 하고 만찬과 공연 관람 등을 같이하며 극진히 대우했다. 회담은 불과 1시간 만에 끝나고 만찬을 시작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3월 김 위원장 첫 방문 시에도 ‘황제급 의전’을 제공해 눈길을 끌었다. 당시 시 주석은 인민대회당에서 가장 호화로운 내부 장식으로 유명한 진써다팅(金色大廳)에서 국빈 만찬을 열었다. 특히 김 위원장에게 이틀간 환영 만찬과 환송 오찬 등 두 차례 연회를 하고, 댜오위타이의 양위안자이(養源齎)를 직접 소개하는 등 최대한의 예우를 했다.

특히 김 위원장의 방중은 그의 생일과 북·중 수교 70주년이 겹쳐 양측이 더욱 큰 의미를 부여하는 분위기다. 1984년 1월 8일생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은 35번째 생일을 시 주석과 함께 맞게 됐다. 북한은 김 위원장이 취임한 2012년 이후 한 차례도 그의 생일 행사를 개최한 적이 없다. 8일은 북한의 공휴일도 아니다.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은 각각 태양절(4월 15일), 광명성절(2월 16일)로 부르며 공휴일로 지정했다.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를 이용한 것은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아 과거 특별열차를 이용했던 선대 김정일 위원장의 행보를 재연하며 북·중 우의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라는 시각도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3월 1차 방중 때는 특별열차를 이용했지만 5월 2차, 6월 3차 방중에는 전용기를 이용했고 방문기간도 1박2일로 짧았다.

북·중 정상은 상호 방문과 답방을 주고받은 외교 관례를 다시 깨고 시 주석이 답방을 하지 않았는데도 김 위원장이 4차례나 일방적으로 중국을 방문하는 파격으로 양국의 우의를 과시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하반기 답방을 적극 검토했으나 북·미 협상 교착과 미·중 갈등으로 여건이 악화되자 포기했었다.

김 위원장이 첫날 일정을 마치고 9일 시찰지를 어디로 택할지도 관심이다. 북측 방중단에는 김 위원장의 핵심 참모들이 총출동했다. 김 위원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경제 건설’을 강조한 만큼 이미 방문했던 중관춘 등 베이징 인근을 넘어 톈진, 상하이 등 원거리 일정을 소화하며 중국의 발전상을 시찰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