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설득할 중재안 뭘까’ 장고 들어간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정부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문 대통령이 직접 NSC 전체회의를 여는 것은 1차 북·미 정상회담이 있었던 지난해 6월 이후 9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점검하고, 북·미 양측의 중재자로서 어떤 역할을 할지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일 “문 대통령이 주재하는 NSC 전체회의 안건은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평가와 대응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강경화 외교부, 조명균 통일부, 정경두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각각 회담 관련 정보를 보고받을 예정이다. 회의에는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 김현종 2차장 등이 참석한다.

문 대통령이 모든 외교·안보 참모와 관련 장관들을 소집하는 것은 북·미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반영돼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방향으로 중재자의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정상들이 결단을 내리는 ‘톱다운’ 방식의 2차 북·미 회담이 결렬되면서 이제는 회담 성사 자체가 아니라 양측이 수긍할 수 있는 ‘중재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청와대는 중재안 마련에 앞서 국가안보실과 외교안보 부처를 총동원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사유에 대한 복기 작업에 돌입했다. 김 대변인은 “지금은 베트남 하노이 회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선행돼야 하는 단계”라며 “하노이 회담에서 실제로 어떤 대화가 오갔고, 어디에서 매듭이 꼬였는지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국가안보실은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다각도로 접촉에 나섰다. 국가정보원도 미 중앙정보국(CIA), 북한 통일전선부와 물밑 접촉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변수가 커졌다. 북·미 협상 결렬로 대북 제재 해제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 측이 경호 문제를 감수하고 서울을 방문할 유인책을 찾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5·26 판문점 회담처럼 서울 답방에 앞서 ‘원포인트’ 남북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서울 답방 또는 원포인트 회담 개최를 위해 문 대통령이 머지않아 북한에 특사를 보낼 것이란 관측도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