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장하성, 주중대사로 컴백… 靑 ‘보은 인사’ 논란 속 내정 강행

지난해 11월 7일 청와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장하성 당시 정책실장. 이틀 뒤 경질된 장 전 실장은 이번에 주중대사로 내정됐다. 청와대는 장 전 실장이 중국과의 경제 갈등을 해소할 적임자라고 판단했다. 이병주 기자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주중대사로 컴백 초읽기에 들어갔다. 경제부총리와의 알력, 소득주도성장정책의 부진 등으로 지난해 11월 경질된 지 넉 달 만이다. 청와대는 돌려막기 인사, 보은 인사 논란 속에서도 장 전 실장을 주중대사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패한 인사로 평가받는 장 전 실장의 재기용을 강행한 배경은 무엇일까.

청와대는 가장 먼저 중국과의 경제·통상 관계 복원 문제를 꼽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4일 “이번 주중대사 인선에서 가장 우선순위로 검토한 것은 한·중 간 경제 문제였다”고 밝혔다. 그는 “장 전 실장은 후보군 중에서 문재인정부 경제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 중량감 있는 인사”라며 “사드 보복으로 시작됐던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 문제를 정상화하고 미·중 통상 분쟁에 가장 대응을 잘 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초대 정책실장으로 사드 보복 문제를 정면에서 다뤘던 장 전 실장을 통해 중국과의 경제 갈등을 해소하는 것을 최우선순위로 뒀다는 의미다.

장 전 실장은 중국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장 전 실장은 2008~2016년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국제자문위원으로 일했고 2012년 푸단대, 2015년 런민대 방문교수도 역임했다.

중국에 정통한 외교관 풀이 많지 않다는 점도 고려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국과 수교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아 중량감 있는 직업 외교관을 찾기 어려운 면이 있다”며 “게다가 중국은 항상 정권 내 거물급 인사를 대사로 요구한다”고 설명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외교부 중국 과장을 지낸 이들은 20명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북핵 외교와 미·중 통상 분쟁 대응, 한·중 경제 정상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장 전 실장이 적임자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비판 여론도 만만치 않다. 우선 장 전 실장은 문재인정부 출범 2년간 경제 실패를 이끈 장본인으로 평가받는다. 이런 인사를 다시 중요한 자리에 앉힌 것은 돌려막기 인사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많다. 정권의 인재풀이 극히 협소하다보니 결국 썼던 인사를 다시 중용하는 것 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장 전 실장은 중국 관련 경력이 있긴 하지만 중국어에 능통하지 못하다. 따라서 민감한 상황에서 내밀한 외교를 하기에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중국통’인 한 여권 인사는 “중국어를 모르고, 중국에 인적 네트워크가 없어 현지 정서와 문화를 잘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글로벌 경제를 중심으로 보면 괜찮은 인사지만 아쉬운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자유한국당은 강하게 반발했다. 정양석 한국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경제정책 실패자인 장 전 실장을 중국대사로 돌려막기, 재활용 인사를 한다는 것은 중국과의 외교 문제를 얼마나 등한시하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혹평했다.

한편 주일대사에는 남관표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주러대사에는 이석배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날 주유네스코대사에 김동기 미국 공사, 주시드니 총영사에 홍상우 청와대 선임행정관, 주시카고 총영사에 김영석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주호놀룰루 총영사에 김준구 국무조정실 외교안보정책관이 내정됐다고 밝혔다.

강준구 이상헌 기자 eyes@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