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김정은, 나가는 트럼프 붙잡고 ‘마지막 빅딜’ 시도했지만 퇴짜 맞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8일(현지시간)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 회담장에서 확대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AP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전 회담장을 떠나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붙잡고 막판 절충안을 내밀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내민 손을 끝내 뿌리치고 회담 결렬을 선택했다.

북한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간 고위급 접촉을 거부하는 등 정상회담 전까지 고압적 태도를 보였으나 정작 회담이 결렬되자 적잖이 당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CNN방송은 6일(현지시간) 북·미 협상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2차 정상회담 결렬 당시 상황을 상세히 소개했다. 회담 둘째 날인 지난달 28일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결렬을 통보하고 회담장인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을 나서려 하자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달려나와 김 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북한으로서는 영변 핵시설 폐기와 대북 제재 해제를 맞바꾸는 ‘빅딜’을 이루기 위한 마지막 시도(last-minute Hail Mary)였다.

북·미 양측은 확대정상회담에서 폐기 대상 핵시설의 범위를 놓고 격론을 벌이고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협상단이 자리에서 일어나 회의실을 나가버리자 김 위원장은 최 부상을 보내 마지막 절충안을 내놨다. 하지만 최 부상이 전달한 김 위원장 메시지 역시 폐기 범위와 관련해 모호한 점이 있어 트럼프 대통령은 “더 명확히 해 달라”고 요구했다. 최 부상이 재차 김 위원장에게 달려갔다 돌아와 “(영변 핵시설 내) 모든 것이 해당된다”고 통보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마저도 만족스럽게 여기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막판 뒤집기 실패는 북·미가 핵시설 폐기, 제재 해제와 관련해 상당한 인식차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고 CNN은 분석했다. 다만 일부 미국 관리들은 김 위원장이 협상 타결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는 증거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김 위원장이 생각하는 타협안을 미국 측이 받아들일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인식이 지배적이다.

북한은 두 정상이 회담에 임하기 직전까지만 해도 훨씬 여유로운 태도였다고 한다. 정상회담 하루 전인 지난달 26일 트럼프 대통령보다 먼저 하노이에 도착한 폼페이오 장관은 김영철 부위원장에게 면담을 요청했다. 하노이 현지에서 열린 실무협상이 큰 진전 없이 끝나면서 고위급 접촉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은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만나기 전 북한이 정말로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 했다.

하지만 김 부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을 만나주지 않았다. 폼페이오 장관은 몇 시간을 기다린 끝에 당혹감 속에 잠자리에 들어야 했다.

CNN은 “북한 관리가 미국 카운터파트를 바람맞힌 건 처음은 아니다”면서 “하지만 고위급 접촉 무산은 2차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이 원했던 성공을 가져다주지 못할 것임을 암시하는 불길한 징조였다”고 전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