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서울에 새로 들어서는 대형 아파트 단지는 ‘슈퍼블록’을 쪼개 중간 중간 보행로를 내야 한다. 민간 정비 사업도 서울시가 사업 사전 단계부터 관리해 아파트 단지의 공공성을 회복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12일 시청에서 아파트 정비사업과 건축디자인을 혁신하는 내용의 ‘도시·건축 혁신(안)’을 발표했다. 정비사업 초기인 ‘사전 공공기획’ 단계가 신설되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시가 정비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민간과 함께 고민하고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한다는 것이 골자다. 기존에는 서울시가 정비계획안 수립 마지막 절차인 심의단계에서만 검토를 해왔다.
이를 위해 아파트 정비사업 전 과정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전담조직 ‘도시건축혁신단(가칭)’이 하반기 신설된다. 또 도시계획위원회 등 정비사업 관련위원회 위원 중 총 50명 내외로 ‘공공기획자문단’도 구성한다.
사전 공공기획 단계에서는 서울시가 정비계획 수립 전에 각 단지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게 된다. 용적률과 높이 같은 일반적인 계획요소 뿐 아니라 경관·지형,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가구구조 변화, 보행·가로 활성화 방안 등을 담게 된다. 예를 들어 구릉지 일대 아파트의 경우 경관을 고려해 건축물의 높이에 차이를 두는 방식이다.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도시 속 ‘섬’처럼 고립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파트 조성기준’도 새롭게 마련한다. 하나의 단지가 거대한 블록(슈퍼블록)으로 조성됐던 것을 여러 개 중소 블록으로 재구성해 중간 중간 보행로를 내는 방식이다. 저층부에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적용하고 대중교통중심지 주변 아파트는 상업·업무·주거가 어우러진 복합개발을 유도하게 된다.
다음 달 중 4개 시범단지를 정해 여러 유형별 실험에 나서게 된다.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주민들 외에는 아파트 단지에 접근하기도 어렵고 지역과의 부조화 문제가 크다”며 “가로활성화 부분은 기부채납으로 보고 총량 안에서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획일적인 아파트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건축디자인을 유도하기 위해 현상설계를 적용한다. 공모된 설계안 중 2개 이상을 선정해 조합(추진위)에서 주민총회를 통해 확정하게 된다. 시는 현상설계 공모 비용 전액과 공모안 선정을 위한 주민총회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서울시가 사전 단계부터 관리하기 때문에 정비에 소요되는 기간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심의는 기존 3회에서 1회로, 기간은 20개월에서 10개월로 단축한다는 목표다. 계획 변경에 따른 혼란과 비용 낭비를 막는 효과도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공공 주택 분야에서의 도시 계획을 추진해왔다. 민간 영역인 아파트 정비사업까지 관여하는 데는 2030년까지를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2030년까지 서울시내 아파트 56%(준공 30년 이상 경과)가 정비시기를 맞게 된다. 건축물 내구연한까지 고려하면 미래 100년 서울의 도시경관이 결정되는 시기인 셈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획일적인 아파트 디자인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줄곧 강조해왔다. 박 시장은 지난해 리콴유 세계도시상 수상차 싱가포르를 방문했을 때 서울에도 철학과 스토리를 담은 디자인 건축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