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족한 5G 기지국 확충 발등의 불… 1곳당 2000만 소요



한국이 미국보다 58분 먼저 ‘5G 최초 상용화’에 성공했지만 아직 해결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5G 가입자 수는 약 10만명으로 추산된다. LTE 때 가입자 10만명 돌파에 한 달이 걸렸던 점을 감안한다면 4배 빠른 속도다. 반면 이동통신 3사에서 5G 서비스 전 설치한 기지국 수는 터무니없이 적어 소비자의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5G 기지국 신고 장치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5G 기지국은 총 8만5261개다.

5G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특성을 지고 있다. 850㎒~2.6㎓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LTE와 달리 5G는 3.5㎓~28㎓의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1㎢당 약 100만개의 사물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을 정도로 대역폭은 넓지만 파장이 짧다. 뿐만 아니라 도달거리가 짧고 장애물을 휘어서 넘어가는 회절성이 떨어져 전파 손실이 심하다.

5G가 지닌 단점 보완을 위해 기지국 설치는 필수다. 기지국을 촘촘히 설치할수록 전파가 끊길 가능성이 줄어든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기지국 한 대를 설치할 때 약 2000만원의 비용이 든다. 비용 문제로 기지국 구축에 무리가 따른다면 신호를 중계해주는 중계기나 스몰셀 등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문제는 현재 기지국 및 중계기 등의 설치 미흡으로 전파 통신 오류가 잦다는 점이다. 5G 전파가 제대로 터지지 않는다는 사용자들의 경험담이 끊이지 않고 올라오고 있다. 5G폰임에도 불구하고 LTE로 연결되는 일은 부지기수다. 이런 상황 속에서는 5G 콘텐츠를 제대로 즐길 수 없다.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등의 서비스는 5G가 터질 때만 사용 가능하다.

지방 소외 문제도 심각하다. 이동통신 3사는 현재 수도권 등을 중심으로 기지국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수도권 및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중소도시에서는 원활한 5G 서비스 이용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빠르면 오는 2022년 5G 전국망이 구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 연말까지 전체 인구의 80%에 해당하는 5G 커버리지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단말기 호환도 중요하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원활한 5G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지국 구축뿐 아니라 단말기와의 호환도 중요하다. 삼성전자도 제품 안정화를 위해 자사 5G 스마트폰 ‘갤럭시S10 5G’ 출시를 미룬 바 있다.

5G 품질 논란이 커지자 두 번째 5G폰인 LG전자의 ‘V50 씽큐' 출시도 미뤄졌다. 당초 V50 씽큐는 지난 19일 나올 예정이었으나, LG전자는 고객만족도 향상을 이유로 연기했다. 업계는 이통사들의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시작할 때부터 모든 것이 갖춰진 완벽한 서비스는 없다. 5G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이승희 쿠키뉴스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