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연내 끝내기로 했다. 매각이 불발돼도 박삼구 전 회장의 경영복귀는 불가능하다고 못을 박았다. 또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해 1조6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당초 금호그룹이 ‘수혈’을 요청한 금액(5000억원)의 3배가 넘는다. 아시아나항공 매각 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해 몸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채권단이 총 1조6000억원을 투입해 아시아나항공 자본을 확충하고 유동성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대주주가 인수·합병(M&A) 동의 등 신뢰할 만한 자구안을 제출한 점을 고려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은 올해 안에 아시아나항공에 ‘새 주인’을 찾아줄 방침이다. 채권단은 이날 금호그룹과 특별 약정을 맺었다. 약정에는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무산될 경우 지분을 채권단이 임의의 조건으로 팔 수 있다’는 조항이 담겼다. 매각이 지연되거나 돌발 상황이 발생해도 매각 조건 등을 바꿔서 M&A를 성사시키겠다는 것이다. 박삼구 전 회장 등 금호그룹 오너 일가의 경영복귀, 매각 과정 개입 가능성을 차단하는 ‘안전장치’인 셈이다. 최대현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1차 매각이 무산되면 구주 매각을 일부만 하거나 매각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 등을 채권단이 제안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에 수혈하는 1조6000억원 가운데 5000억원은 영구채 매입으로 투입된다.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한 영구채를 채권단이 사들이는 식이다. 나머지는 일종의 ‘마이너스대출’인 크레딧 라인(신용한도 대출) 형태로 8000억원, 스탠바이 신용장(보증한도 대출)으로 3000억원을 지원한다. 5000억원을 경영 정상화 용도로 투입한 뒤, 추후에도 자금이 부족하면 최대 1조1000억원까지 더 빌려주겠다는 것이다. 지원 금액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7대 3 비율로 부담한다. 정재경 산업은행 구조조정본부장은 “대우조선해양도 1조8000억원 규모의 크레딧 라인이 제공됐지만 하나도 쓰지 않고 있다”며 “아시아나항공이 순조롭게 경영 정상화를 이루면 실제 지원 규모는 축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전제조건으로 금호고속에 1300억원 규모의 브릿지 대출(Bridge Loan)도 실행한다. 금호그룹은 ‘금호고속→금호산업→아시아나항공→아시아나IDT’라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금호고속이 흔들리면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 사전에 금호고속의 경영 상태부터 다지는 것이다.
또한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 매각 작업에 속도를 붙일 계획이다. 금호산업은 이번 주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고 두 달가량 실사를 벌일 예정이다. 이르면 다음 주에 채권단과 아시아나항공 간의 재무구조개선 약정(MOU)도 체결된다. 금호산업 측은 “빠른 시일 안에 통상적인 M&A 절차를 밟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