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영옥의 지금, 미술] 핥을수록 되살아나는 초콜릿 글씨… 예상 못한 폭력에 대한 고발

신제현 작가가 지난 20일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마포구 씨알컬렉티브에서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신제현은 2014년 케이블TV 스토리온의 오디션 프로그램 ‘아트스타 코리아’에서 최종 우승을 거머쥔 바 있다. 권현구 기자
 
영상 작품 ‘발화하는 단어들 Ⅰ-말할 수 없는’. 씨알컬렉티브 제공
 
‘발화하는 단어들 Ⅲ-음계시’. 씨알컬렉티브 제공


어, 지워져야 할 글자가 점점 되살아나잖아. 그것도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으로 쓴 글자가.

영상 작품은 어려울 거라는 예상을 깼다. 남녀가 나와 에로틱한 정서를 유발하는 화면에 자꾸 눈이 갔다. 화면을 가득 채운 건 한껏 클로즈업된 얼굴과 얼굴인데, 혀로 상대를 애무하고 있으니 말이다.

지난 20일 신제현(37) 작가의 개인전 ‘텍스트스케이프’(6월 15일까지)가 열리고 있는 서울 마포구 성미산로 복합문화공간 씨알컬렉티브에 갔다. 처음의 야한 인상은 이내 그로테스크한 느낌으로 바뀌었다. 핥으니 점점 없어져야 할 글자인데, 그 행위가 글자를 뱉어내듯 글자가 점점 또렷해져서다. 또 초콜릿의 그 찐득찐득한 느낌이라니.

작가가 부리는 마법은 리버스(되감기) 기법에 있다. 집집마다 비디오가 있던 시절, 지나간 장면을 보기 위해 되감기 하면, 스파게티 가락이 거꾸로 입에서 술술 나오는 우스운 장면이 연출되는 것과 같은 식이다. 그는 먹는 행위를 리버스시켜 입에서부터 단어가 나오게 한다. 감성의 언어인 몸짓을 이성의 언어인 문자로 전환시킨다. 그 전환된 풍경, 말하자면 텍스트스케이프(Textscape·글자 풍경)에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숨어 있다.

그 에로틱한 순간에 발화되듯 혀끝에서 나오는 단어가 의외다. ‘이별’ 같은 슬픈 단어가 있는가 하면, ‘발 냄새나’ 같은 믿어지지 않는 문장도 있다.

작가는 연인과 친구 등 커플을 뽑아서 ‘상대방에게 차마 할 수 없었던 말이 무엇인지’ 묻고는 그걸 상대의 얼굴에 썼다. 정작 당사자는 자신의 얼굴에 무슨 글자가 있는지 모른 채 이 퍼포먼스에 참여했다.

이 작품 ‘발화하는 단어들 Ⅰ-말할 수 없는’의 아이디어는 1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성균관대 미술학과 재학 시절, 찰떡처럼 붙어 다니던 두 친구가 떨어져 있을 때는 서로에 대해 험담하는 ‘이중성’을 목격하곤 이런 작품을 구상하게 됐다. 이번 전시는 당시 버전을 심화시킨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모든 작업에 폭력에 대한 고발이 숨어있다고 말했다. 이 작품도 점점 또렷해지는, 예상 못한 글자를 통해 언어의 폭력성을 감각하게 한다.

무심코 뱉은 말이 상처가 될 수 있다. 언어폭력은 가정 직장 학교 등 일상에서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그 최전선은 국회다. ‘5·18 망언’이 보여주듯 그곳은 언어폭력의 난투장이다.

글자를 쓴 재료가 초콜릿이라는 점도 은유적이다. 세상 사람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맛이지만, 카카오 농장에서 행해지는 아동 노동 착취를 안다면 그건 눈물 밴 맛이기도 하다. 초콜릿은 에로틱한 행위가 폭력에 대한 고발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복선이다.

‘발화하는 단어들 Ⅱ-몸의 사전’은 폭력에 대한 관심을 세계사로 확장한다. 얼굴 목 이마 발목 등에 그에 상응하는 단어가 영어 한국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로 적혀 교차된다. ‘기’ ‘氣’ ‘spirit’처럼 같은 의미의 3개국의 단어가 나오는 식이다.

작가는 “서구 의학은 인간의 몸을 부위별로 분절시키지만, 동양 의학은 ‘기(氣)’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관계성과 흐름에 관심을 갖는다. 몸을 대상화하는 것은 서구적인 발상”이라고 말했다. 헤어진 여자친구의 새 남자친구에게 ‘니 여친 내가 잘 사용했어’ 식의 막말을 하거나, 기업 대표의 직원에 대한 폭력 등은 인간의 몸을 대상화하는 서양의 시선에서 비롯됐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몸을 화면 전면에 드러내는 것은 점점 난해해지는 현대미술에 대한 반기이기도 하다. 신체와 초콜릿이 화면 가득 펼쳐지는 영상을 보면 어떤 관람자라도 쉽게, 감각적으로 작가가 주장하는 바를 느낄 수 있다.

신제현의 작업은 종횡무진이다. 2016년 아르코미술관 한·대만 교류전 ‘동백꽃 밀푀유’에서는 설탕가루로 쓴 글씨 위로 관객이 함부로 지나가게 하는 퍼포먼스 작업을 했다. 일제의 대만 식민지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 대한 기억을 환기하는 작품이다. 2018년 강원국제비엔날레에서 선보인 ‘해피밀’ 퍼포먼스는 이주민 문제를 다룬 것이다. 이주민들이 만든 고향 음식을 관람자들이 고공 크레인 위에서 시식하게 함으로써 이주민들이 처한 불안한 상황을 공감하게 했다.

폭력에 대한 관심은 삶과도 연결돼 있다. 2016년 서울 용산구 테이크아웃드로잉카페와 건물주인 가수 싸이 사이에 벌어졌던 임대 갈등 때, 그는 카페가 운영하는 레지던시 작가로서 싸움의 당사자가 됐다. 재개발, 난민, 핵발전소 등 첨예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갖고 이것을 작업으로 연결한다.

그는 지금의 작업 방식을 고수할 것이다. 그에게 미술은 벽에 가만히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 일에 참견하면서 발언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미술·문화재전문기자 yosoh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