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포토_영상  >  포토

[앵글속 세상] 최대한 물에 떠 버티는 법, 배워야 산다

충북 음성 삼성초등학교 학생들이 지난달 25일 ‘이동식 생존수영 교실’에서 서로 팔짱을 끼고 원을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이는 강과 바다에서 조난당했을 때 혼자 떨어지지 않게 해 수색작업을 쉽게 하고, 체온 유지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
 
충북 제천 홍광초등학교에서 지난달 5일 열린 ‘이동식 생존수영 교실’에서 학생들이 돗자리를 이용해 물에 뜨는 체험을 하고 있다.
 
삼성초등학교 학생이 페트병을 이용해 물에 떠 있다. 남녀의 무게중심이 달라 남자는 복부에, 여자는 가슴에 페트병을 두는 게 유리하다.
 
충북 음성 소이초등학교 학생들이 지난달 24일 과자봉지를 이용해 물에 뜨는 연습을 하고 있다.
 
삼성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생존수영의 최종 단계인 ‘누워뜨기’를 하고 있다. 몸에 힘을 빼고 손과 발을 벌린 채 누워 물에 떠 있는 방법이다.




구명조끼를 야무지게 입은 아이들이 하늘을 보고 눕는다. 팔을 더듬어 친구를 찾아 팔짱을 낀다. 커다란 원이 만들어진다. 물 위에 피어난 한송이 꽃이다. 이 꽃은 망망대해에서 구조자에게 위치를 알려주고, 서로의 체온을 모아 저체온증 발생을 지연시킨다.

생존수영은 화려한 수영 기술을 익히는 게 목적이 아니다. 속도를 경쟁하거나 기술을 뽐내지 않고 물에 떠 기다리는 방법을 배운다. 입은 옷과 신발을 벗지 않는 게 유리하다. 체온 유지와 부력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요즘은 운동화뿐 아니라 구두도 물에 뜬다. 물에서 버티는 것이 목적인 만큼 주변에 있는 물건을 모두 활용해야 한다. 나뭇조각, 돗자리, 페트병은 튜브 대용으로 좋다. 별 것 아닌 과자봉지도 위급할 때는 큰 도움이 된다.

생존수영 교육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직후 ‘안전교육 강화’ 차원에서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됐다. 초등학교 3학년에게만 실시하던 이 교육은 이후 점점 확대돼 올해는 2~6학년이 대상이다. 2020년에는 초등학생 모두가 배워야 한다. 교육부는 연간 수영수업 10시간 중 4시간 이상을 생존수영에 할애하도록 의무화했다.

서울이나 대도시에는 학교에 수영장이 있거나 가까운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인프라가 부족한 지방의 많은 학교는 ‘이동식 생존수영 교실’을 활용한다. 커다란 수영장을 들고 학교로 찾아가는 ‘이동식 생존수영 교실’은 인기가 높다. 학생들이 수영장을 찾아 멀리 갈 필요 없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동식 수영장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수압을 고려해야 하고, 물을 채울 방법과 시간도 계산해야 한다. 시골의 작은 학교는 상수도를 사용할 수 없어 소방차로 물을 채운다. 이동식 수영장 아이디어를 낸 장동립 대한문화체육교육협회 회장은 “이동식 생존수영 교실은 서울과 지방의 교육 불평등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음성=사진·글 김지훈 기자 dak@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