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본드’ ‘동백꽃 필 무렵’ ‘나의 나라’ ‘아스달 연대기’ ‘SKY 캐슬’…. 방송사와 방영 시기, 장르 모두 제각각인 이 작품들을 꿰뚫는 키워드는 넷플릭스다. 최근 갈고닦은 국내 작품 대부분이 이 글로벌 OTT(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시청자를 만나고 있다.
약 1억5000만명 가입자를 보유한 넷플릭스는 2016년 한국에 진출,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워 국내 제작진들과 ‘킹덤’ ‘좋아하면 울리는’ 등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선보여 왔다. 판권 구입 등 콘텐츠 투자도 함께였다. 넷플릭스와 작업했던 한 PD는 “계약까지는 까다롭지만, 이후에는 전폭적 지원을 해준다는 게 가장 큰 이점”이라고 전했다. 시청자에겐 채널 선택권을, 제작진에겐 창작 기회를 넓혀주는 플랫폼인 셈이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일이다. 한국 작품들의 넷플릭스 유통이 한국 드라마 시장이 처한 난국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건 넷플릭스 없이, 양질의 드라마 제작이 어렵다는 것이다.
‘왕좌의 게임’ ‘하우스 오브 카드’ ‘나르코스’ 등 쟁쟁한 외국 작품에 익숙해진 시청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선 그만큼의 자본이 필요하지만 국내 시장 사정으로는 여의치 않은 게 사실이다. 한 드라마 제작사 관계자는 “시청자들 수요에 맞춘 작품을 만들려고 해도 투자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국내 드라마 시장에서는 제작비 감당이 어렵다”고 했다. 수백억 제작비를 자랑하는 국내 작품의 연이은 등장이 넷플릭스의 투자 덕분이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방송사가 넷플릭스의 투자를 마냥 환영할 수도 없다. 지상파 등은 국내 콘텐츠 시장의 자생적 구조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넷플릭스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 왔다. 한 방송 관계자는 “제작시장의 왜곡이 가장 큰 문제”라며 “넷플릭스가 들어와 엄청난 규모의 돈이 현장에 투입되면서 배우 출연료 등 가격이 치솟고 있다”고 했다.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지식재산권(IP)의 종속도 우려되는 부분으로 꼽힌다. 배대식 드라마제작사협회 사무국장은 “오리지널 콘텐츠는 대부분 판권을 독점하는 형태로 가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계속되다 보면 국내 콘텐츠 제작시장이 글로벌 자본의 하청업체처럼 될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종합해보면 한국 드라마 시장은 넷플릭스에 기대면서도, 의존도를 줄여가야 하는 일종의 딜레마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극복할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전문가들은 최근 방송사들이 연합해 선보이고 있는 토종 OTT들에 주목했다.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는 최근 연합 OTT 플랫폼인 웨이브를 선보였고, CJ ENM과 JTBC는 내년 초 통합 OTT를 공개할 예정이다.
전술적 연합으로 콘텐츠 경쟁력을 키우는 동시에 투자 선순환 구조를 갖추겠다는 전략인데, 실제 웨이브는 외부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5년간 콘텐츠 제작에 3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넷플릭스의 연간 투자액 15억 달러(약 1조8000억원)와 비교하면 턱없지만, 국내 시장만 보면 적지 않은 금액이라는 설명이다. 100억원을 투자한 ‘조선로코-녹두전’(KBS2)은 현재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넷플릭스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차별화될 수 있는 콘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연합과 투자를 통해 토종 OTT만의 색깔을 갖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면 드라마 경쟁력은 물론 국내 제작 시장 저변을 단단히 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