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킹하는 PBV에 따라 허브는 다양한 공간으로 변화”



치과·내과·약국 기능의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가 허브에 도킹되면 허브는 병원이 된다. 신발가게·옷가게로 구성된 PBV가 허브에 도킹되면 허브는 쇼핑센터가 된다. 공상과학영화에나 나올 것 같은 장면이지만, 현대자동차그룹은 이 모습을 현실화한 밑그림을 그려냈다.

이상엽(사진) 현대디자인센터장(전무)을 6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 베이 호텔에서 만났다. 이 전무는 현대차그룹이 ‘CES 2020’ 미디어 콘퍼런스에서 공개한 PBV 및 허브 콘셉트의 디자인을 맡았다. 그는 “미래 모빌리티의 개념이 ‘삶의 공간을 연장하는 곳’이 되는 시대가 됐다”면서 “PBV는 그런 차원의 비전에서 출발한 모빌리티”라고 설명했다.

PBV의 기능과 디자인 확장 가능성은 상당히 크다. 이 전무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제 차는 운전하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 중심의, 인간을 이롭게 하는 모빌리티가 된다”면서 “도심에서 PBV의 속도는 50㎞/h 이하이기 때문에 실내 공간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디자인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PBV는 버스 같은 대중교통도 아니고 개인승용차도 아닌 새로운 형태의 모빌리티”라면서 “어떤 목적의 PBV가 허브에 도킹되느냐에 따라 허브 자체의 목적도 달라지는 유연한(flexible) 공간으로 쓰게 된다. PBV와 허브는 공용화 사회의 새로운 비전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이 전무는 샌프란시스코의 케이블카에서 PBV 콘셉트의 영감을 얻었다. 그는 “형상이 아니라 개념 차원의 이야기”라면서 “샌프란시스코 케이블카가 도시를 상징하는 운송수단인 것처럼 PBV가 있는 도시의 풍경을 디자인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라스베이거스=임세정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