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광복 직후인 1946년 3월 창립됐다. 이후 본격적인 조직 결성에 나서 몸집을 지속적으로 불려왔다. 자체 집계 결과 2018년 12월 기준 조합원 수(103만6000명)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후발주자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1995년 11월 출범했다. 문재인정부 들어 세력을 대거 확대해 2019년 3월 조합원 100만명을 넘어섰다. 자체 집계로 100만3000명이었다. 양 노총은 그해 2월과 4월 각각의 대의원대회에서 조합원 100만명 시대를 선언하고 ‘200만 조직화’에 나섰다.
지난 연말 발표된 정부 공식 통계는 좀 다르다. 2018년 말 조합원이 민주노총 96만8000명, 한국노총 93만3000명이다. 양측 모두 100만명에 미달한다. 한데 순위가 뒤바뀌었다. 이 통계치는 노동계의 지각변동을 알렸다. 처음으로 제1노총 지위가 바뀌었음을 선포했다. 2016년 조합원 65만명이었던 민주노총이 다음 해부터 2년간 무려 32만명을 늘려 한국노총을 제치고 제1노총으로 등극한 것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친노동 정책 덕을 톡톡히 봤다. 70년 넘게 노동계 맏형 지위를 유지해왔던 한국노총으로선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다.
한국노총이 제27대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고토 수복을 부르짖는 건 당연하다 하겠다. 이번 선거는 임기 3년의 위원장 후보로 출마한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과 김동명 화학노련 위원장의 양자 대결이다. 지난 6일 시작한 전국 16개 시·도 지역본부 순회 합동연설회는 17일 끝났다. 양측은 공히 제1노총 지위 회복을 위한 조직 확대를 핵심 이슈로 내걸었다. 김주영 현 위원장이 온건 성향인 데 반해 두 후보는 강성으로 분류된다. 선명성 경쟁이 치열하다. 2017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와 맺은 정책연대 협약 파기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한국노총은 협상과 투쟁을 병행하면서 정부 파트너로서 역할을 해왔다. 대통령 직속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해 정부·경영계와 함께 사회적 대화를 꾸준히 하면서 성과도 내놓았다. 경사노위에 불참하면서 강경 일변도로 치닫는 민주노총과는 결이 사뭇 다르다. 근데 심상치 않다. 누가 위원장이 되든 민주노총과의 주도권 싸움으로 한국노총 노선이 협상보다는 투쟁 기조로 바뀔 가능성이 없지 않다. 21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선거인단 3300여명의 간접선거로 탄생할 차기 위원장의 행보가 주목되는 이유다.
박정태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