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조용신의 스테이지 도어] 브로드웨이 200여년 만에 셧다운… 공연 ‘잠시 멈춤’의 시대

코로나19 여파로 한적해진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 거리 모습. 뉴욕주정부의 결정에 따라 3월 12일부터 500석 이상 상업극장이 문을 닫았고 객석 500석 미만의 오프브로드웨이 극장들도 자발적으로 공연을 취소했다. ‘세계 공연예술의 중심지’로 불리는 브로드웨이가 문을 닫은 것은 200여년 역사상 처음이다. AP연합뉴스




테러에도 문을 열었던 브로드웨이 상업극장가가 200여년 역사상 처음으로 문을 걸어 잠궜다. 비말로 전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 앞에서 화려한 춤과 노래도 그 빛을 잃었다. 코로나 위기 앞에 사람들은 몸을 사리고 생필품을 사들이며 불안한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 공연예술이란 무대와 객석이 서로 마주보지 않으면 성립되지 않는 라이브 예술이기 때문에 ‘잠시 멈춤’ 상태로 들어가자 공연 종사자들의 삶 역시 ‘잠시 멈춤’ 상태가 되어버렸다.

문제라면 삶은 스위치처럼 껐다가 바로 켤 수 없다는 것이다.

브로드웨이는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도 멈추지 않았고 2001년 9.11 테러 사건 때는 48시간 동안 불을 껐을 뿐이다.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가 모든 기록을 갈아치웠다. 뉴욕주정부의 결정에 따라 3월 12일부터 500석 이상 상업극장이 문을 닫았고 객석 500석 미만의 오프브로드웨이 극장들도 자발적으로 공연을 취소했다.

반면 한국의 극장들은 크던작던 공연을 이어나갔는데, 취소할 경우 감당해야 할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뉴욕의 배우노조(Actors’ Equity Association)는 브로드웨이의 셧다운 상황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을까. 협회장인 케이트 쉰들의 현지 뉴스 채널 NY1 인터뷰에 따르면 브로드웨이 배우들은 공연이 중단되고나서 두 주는 원래 받기로 한 출연료를 받을 수 있으며 두 주가 지난 후에는 브로드웨이 법정 최저임금을 지급받는다. 그리고 이 모든 기간 동안 고용 의료보험 혜택은 똑같이 유지된다. 이는 주연배우와 앙상블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기 때문에 한 주에 2000달러 정도의 최저임금을 지급받는 배우들보다는 주·조연 배우들이 금전적으로 더 타격을 입는 모양새다. 아직 4주가 지나지 않았지만 배우노조는 셧다운이 길어질 것으로 보고 제작자협회와 협상중이다.

노조는 연회비를 내온 배우들에게 실업 급여를 지급해 왔지만 수천명의 배우들이 동시에 일자리를 잃을 수 있는 초유의 사태를 버티기엔 재정적 기반이 충분치 않다. 때문에 노조는 배우들의 생계유지 보조금 지원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펀드를 조성하고 취소된 공연표를 노조에게 기부해 달라는 캠페인을 벌이는 등 자구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노조의 지원 대상은 배우들만이 아니라 무대 뒤에서 일하는 스태프들 모두에게 해당된다.

뉴욕 브로드웨이가 이런 방식의 구제를 하고 있다면 일리노이주와 시카고에서는 최근 400만 달러에 달하는 펀드를 조성했다. 공연 예술가는 물론 화가, 작가 등 모든 분야의 예술가들과 특히 피해가 심각한 소규모 예술단체의 긴급 구제가 목적이다. 독일에서는 예술가들과 프리랜서, 소규모 예술단체를 위한 지원금으로 551만 유로의 긴급 예산을 책정했다. 독일 문화부는 특히 국적에 상관없이 독일에 주소가 있고 일했던 기록이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비상 생계 지원금을 지급한다.

한국에서도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자체는 예술계의 피해사례를 접수하고 긴급대출 신청 등을 받았다. 하지만 서울시가 최근 공연장 내 2m 거리두기를 강권하는 공문을 갑자기 내려보내는 권위적인 태도로 공연계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최근 ‘오페라의 유령’ 내한공연의 두 외국인 배우 감염이 발표되기 전까지 공연장에서는 놀랍게도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높은 감염성을 생각할 때 좁은 공연장에 사람들이 모이는 모습은 걱정되지만 그만큼 공연을 하는 사람들이나 보는 사람들이나 모두 애정을 가지고 조심했다는 반증이다. 실제로 거의 모든 공연장이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관객을 입장시키지 않을 정도였다. 공연 예술가를 위한 노조의 활동이 아직 자리잡지 못한 우리나라에서 공연계 사람들은 어떤 사회적 보호장치도 없이 모든 책임을 각 개인이 떠안아야 하기에 이 ‘잠시 멈춤’의 시간동안 서로 조심하고 배려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사실이 서글프다.

이수진(공연 칼럼니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