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월드

中 부자들 ‘홍콩 엑소더스’ 고심 중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반대해 총파업을 벌이는 홍콩 시민들이 2일(현지시간) 정부청사가 있는 애드머럴티 지역의 한 공원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이 임박하면서 홍콩에 투자해 온 중국 본토 부자들이 불안감을 호소하며 자산 이전을 고민하고 있다고 1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광둥성의 투자자인 류안량은 “과거에는 본토의 시장과 정책이 어떻게 바뀌든 우리 자산을 홍콩 부동산에 투자하고 홍콩 은행에 예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홍콩이 특별지위를 상실할 경우 그 자산이 얼마나 오랫동안 안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상당 부분 홍콩달러를 조속히 미국 달러로 환전하고, 그 돈을 미국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식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일부는 홍콩 부동산 매각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본토 주민이 해외 주식이나 부동산, 금융상품에 직접 투자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강력한 자본 통제를 해 왔지만 많은 중국인은 홍콩을 투자처로 활용했다. 중국인들이 홍콩에서 계좌를 개설하고 보험증서를 구매하거나 부동산을 거래하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고, 다수는 홍콩을 통해 해외시장에 투자해 왔다.

홍콩 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홍콩 신규 보험증서의 25%는 중국 본토 주민이 샀고, 본토 주민들은 2018년 홍콩 주식시장에서 영국인을 넘어 비거주자 가운데 최대 투자자가 됐다.

하지만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으로 홍콩의 정치·경제적 자유가 위축될 것이란 우려가 커졌다. 미국이 홍콩에 부여해 온 특별지위를 박탈하겠다고 밝힌 것도 본토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홍콩중문대 사이먼 선 교수는 “향후 미·중이 경제적으로 탈동조화하고, 중국이 지금처럼 홍콩을 관리한다면 홍콩의 기존 기능은 장기적으로 유지되지 못할 것”이라며 “홍콩이 향후 10년 동안에도 미·중의 완충지대 역할을 할지, 아니면 싱가포르나 대만이 이를 대신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반면 저장성 닝보에서 무역회사를 운영하는 켄트 차이는 “결국 우리 같은 외국 무역업체들에 글로벌 무역과 자본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은 여전히 홍콩”이라며 “홍콩 은행 계좌를 계속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