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 ‘송파 세 모녀’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큰딸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었고, 어머니는 일터를 잃어 생활고에 시달리던 세 모녀가 선택한 건 죽음이었습니다. 이들은 ‘정말 죄송합니다’라는 메모와 함께 집세와 공과금으로 전 재산 70만원을 남기고 세상과 이별했습니다.
‘세 모녀 사건’ 소환한 유나양 가족
사건 발생 한 달이 지났을 즈음, 당시 세 모녀가 살던 동네를 찾아가 봤습니다. ‘혹시 교회가 세 모녀를 살릴 기회는 없었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 사랑과 더불어 ‘이웃 사랑’은 교회의 큰 사명이니까요.
아니나 다를까. 동네 곳곳에 촘촘하게 들어선 크고 작은 교회들은 저마다 형편이 닿는 대로 지역사회에 구제와 섬김 활동을 이어오고 있었습니다. 세 모녀 사건에 대해선 더 꼼꼼하게 살피지 못했다며 안타까워했습니다. 사건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고, 기초생활보장제도를 개선한 이른바 ‘송파 세 모녀법’이 국회를 통과하기도 했습니다.
송파 세 모녀 사건이 불쑥 떠오른 건 얼마 전 실종됐다가 바닷속 차량 안에서 숨진 상태로 발견된 ‘조유나양 가족 사건’ 때문이었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던 일가족 모두가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과 이별한 것은 세 모녀 사건과 비슷합니다.
다른 점도 있습니다. 미성년자인 열 살짜리 유나양이 사실상 부모에 의해 생명을 잃었다는 점입니다. 한쪽에서는 유나양 부모가 우울증과 공황장애 치료를 받고 있었다는 기록이 공개됐습니다. ‘이 가족의 삶이 참 많이 버거웠구나’ ‘얼마나 힘들었으면 그랬을까’ 하는 생각도 밀려듭니다.
버겁고 급박한 삶 전해져
‘그럼에도 혹시 교회가 유나양 가족을 위해 손 내밀 일은 없었을까.’ 이번에도 비슷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8일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유나양 가족이 살던 아파트를 찾아가 봤습니다. 유나네 우편함에는 우편물이 수북이 쌓여 있었습니다. 발신인에는 ○○은행, △△카드, 국민건강보험 등이 적혀 있었습니다. 집 앞 현관문에는 신용보증재단과 법원, 보험사 등에서 보낸 우편물 안내문 스티커가 다닥다닥 붙어 있었습니다. 이 가족이 처한 급박한 사정을 훔쳐본 것 같았습니다.
발걸음을 돌리려는 데, 현관문 옆으로 분홍색 어린이용 자전거와 검정색 성인용 자전거가 덩그러니 서 있었습니다. 유나양 가족이 타고 다녔던 자전거였겠지요. ‘주인 잃은 자전거구나’ 생각을 하니 통로를 벗어날 때까지 자전거에서 눈길이 잘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유나양 가족이 살던 동네를 한 바퀴 돌아봤습니다. 아파트 단지 앞뒤로 십자가가 눈에 띄었습니다. 단지 입구 상가교회는 문을 닫은 지 꽤 오래된 것 같았습니다. 전화를 걸어보니 ‘없는 번호’라는 멘트가 흘러나왔습니다. “사람이 드나든 지 좀 된 것 같다”는 주민 얘기로 봐서는 코로나 여파 때문이 아닌가 짐작할 뿐입니다.
단지 건너편 도로 옆 상가 2층에도 교회가 보였습니다. 문이 닫혀 있어 전화를 걸자 여전도사님과 통화가 이뤄졌습니다. 교회는 대면예배를 회복했는데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유나양 가족 얘기를 꺼내자 안타까워하며 말을 아꼈습니다.
교회, 지친 영혼에 소망 건네야
아파트 단지 옆 행정복지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유나양 가족은 기초생활 수급 대상자도 아니고, 특정한 지원을 요청한 적도 없었습니다. 유나양 가족이 마주한 비극은 무엇 때문이었을까요. 먹고사는 문제 너머의 일 같았습니다. 소망(또는 희망)의 부재라고 할까요. 유나양 부모는 어느 순간 살아갈 소망을 놓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파트 상가교회 앞에 다시 섰습니다. 폐쇄된 교회 입구 벽에는 아직도 선명한 문구를 볼 수 있었습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마 11:28) 유나양 가족은 이 땅의 교회가 할 일을 되새겨주고 떠난 건 아닐까요. 구석구석 지친 영혼을 찾아 복음으로 소망을 심어주는 일입니다.
광주=글·사진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