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더는 못 견뎌”… 분양시장 ‘버티기 물량’ 쏟아지며 미분양 확대

고금리와 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주택시장 상황이 악화하면서 분양 시점을 정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미분양도 점차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의 재건축 현장 모습. 연합뉴스


현재 주택시장의 불황 전망은 어느 때보다 분명하다. 주택 공급에 어려움을 더하는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도 당장 꺾일 가능성이 낮다. 규제 완화를 기대하며 ‘버티기’에 들어갔던 분양 물량은 결국 시장으로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청약시장도 점차 얼어붙고 있어 미분양 사태는 더 확대할 전망이다.

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에 분양 예정인 아파트(임대 포함)는 전국 89곳, 총 6만1312가구다. 지난해 11월 분양 실적(3만413가구)의 배가 넘는다. 2015년 이후 11월 중 가장 많은 물량이기도 하다.

올해 들어 분양을 미뤘던 단지들이 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더 버티지 못하고 시장에 물량을 내놓는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에 계획된 민영 아파트 분양 물량은 총 23만908가구였지만, 실제 분양에 나선 곳은 53.6%(12만3891가구)에 불과했다. 11월 계획 물량 가운데 절반이 넘는 3만3894가구는 이런 계획이 미뤄진 단지다.

분양을 미루면 원자재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공사비 갈등을 겪거나 분양가 산정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 8월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에서 건축비 비중은 61%로 예년의 40~50% 수준을 훌쩍 넘었다.

서둘러 분양해도 청약시장의 전망은 어둡다. 이미 지난달에 수도권에서도 미분양 관리지역이 등장했다. HUG가 지난달 발표한 제72차 미분양 관리지역에 따르면 경기도 안성시와 양주시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미분양 관리지역은 미분양 주택 수가 500가구 이상인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지역 등의 4가지 선정기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면 선정된다.

양주시는 지난해 2월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해제됐다가 이번에 다시 지정됐다. 양주의 미분양 주택은 지난 1월 110가구에서 감소세를 보이다가 6월 847가구로 급증했고, 8월 914가구로 늘었다. 안성시도 2020년 10월 해제 이후 2년 만에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진입했다. 안성시는 지난 1월에만 해도 미분양주택이 1가구도 없었지만, 2월에 1068가구가 발생했다. 8월에도 565가구가 미분양으로 남았다.

지방에서는 부산시 사하구와 대구시 중·동·남·수성·달서구, 강원도 평창군, 충남 아산시, 전남 광양시, 경북 경주시 등 13개 지역이 미분양 관리지역에 선정됐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