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섬김·연합이 일군 ‘태안의 기적’ 세계 유산 됐다

한국교회 성도들이 2007년 12월 충남 태안의 서해안 기름유출 현장에서 기름띠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국민일보DB


충남 태안에 2017년 9월 건립된 유류피해극복기념관 내부 전경. 국민일보DB


‘태안 유류 피해 극복 기록물’이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 목록에 등재됐다는 내용이 담긴 인증서. 태안군 제공


충남 태안 만리포교회에서 시무하는 유성상 목사는 2017년 9월부터 거의 이틀에 한 번꼴로 교회 인근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을 찾아 해설사로 활동하고 있다. 15년 전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기름유출 사고가 얼마나 심각했으며, 사고 이후 방제 작업은 어땠는지를 관람객에게 설명해 주는 일이다.

유 목사는 3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해설사로 활동하는 이유를 묻자 “당시 한국교회가 벌인 일들이 어마어마했는데 잘 알려지지 않아 안타깝기 때문”이라며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는 게 성경의 가르침이지만 당시 교회가 펼쳤던 활동은 영원히 기억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교회의 유산, 세계의 유산이 되다

2007년 12월 7일 태안 앞바다에서는 유조선과 예인선이 충돌해 원유 1만2547㎘(7만8918배럴)가 바다로 흘러드는 최악의 기름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서해안 곳곳은 검은 기름띠로 뒤덮였고 온갖 어패류가 폐사했으며 많은 양식장과 어장이 심각한 피해를 봤다.

하지만 더 놀라운 것은 이후 벌어진 끝 모를 자원봉사 행렬이었다. 기념관에는 당시의 참혹했던 상황과 자원봉사자들의 활약상이 담긴 각종 자료가 전시돼 있는데, 여기엔 한국교회의 활동이 담긴 사진이나 문건도 적지 않다. 기름제거 작업에 나섰던 봉사자 상당수가 크리스천이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봉사단(한교봉)에 따르면 당시 각종 방제 작업에 참여한 인원은 약 80만명에 달한다. 사고 이후 현장에 달려갔던 국민이 123만여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봉사자의 3분의 2가량이 크리스천이었던 셈이다.

문화재청은 지난 26일 기념관에 있는 자료를 포함해 기름유출 사고 극복 과정이 담긴 ‘태안 유류피해 극복 기록물’이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 목록’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이 기록물은 각종 문서와 사진, 간행물 등 22만여건의 자료로 구성됐는데, 충청남도 환경부 국립공원연구원 육군본부 등이 보유한 기록물과 함께 한교봉이 소유한 기록물도 포함됐다. 한교봉이 가진 자료는 당시 피해 상황을 담은 사진과 자원봉사에 참여한 성도와 교회 명단 등이다. 21세기 한국교회 최고 유산으로 평가받는 당시의 사역이 세계의 유산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아태지역 목록 선정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유산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세계적 영향력이 있는 인류의 중요한 기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문화재청은 선정 배경에 대해 “대규모 환경 재난을 민관이 협동해 극복한 사례를 담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연합의 힘’ 보여준 서해안 살리기

한국교회가 15년 전 벌인 서해안 살리기 활동은 교계의 섬김과 연합 운동의 롤모델이었다는 평가가 많다. 사고가 발생하자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목회자인 조용기 김장환 김삼환 손인웅 오정현 목사 등은 한국교회가 한마음으로 이 사역에 뛰어들자는 데 뜻을 모았다. ‘연합 봉사’라는 방침이 정해지자 대형교회부터 농어촌·개척교회에 이르기까지 방제 작업에 뛰어들면서 기적과도 같은 일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교계 안팎에서는 지금도 “한국교회사에서 3·1운동 이후 가장 아름다웠던 장면”이라는 평가가 나오곤 한다.

서해안 살리기 활동은 이듬해 1월 한교봉이 출범하는 마중물이 됐다. 한교봉은 오는 13일 만리포교회에서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 목록 등재를 기념하는 예배를 드린다. 김철훈 한교봉 사무총장은 “이번 일이 한국교회가 새롭게 거듭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lucifall@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