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종합

고체연료 발사체 2차 시험 성공… “2025년 위성 발사 목표”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시 옥수동 상공에 긴 연기 꼬리를 그리며 날아가는 빛이 포착됐다. 이 현상은 전국 각 지역서 관측됐으며, 국방부는 이날 오후 6시 50분께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비행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지난달 30일 진행한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2차 비행시험에서 1차 시험 때보다 진일보한 성공을 거뒀다고 2일 밝혔다. 군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인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를 활용해 2025년까지 500㎏의 소형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 500㎞ 지점에 올릴 계획이다.

ADD는 2차 시험을 통해 4단 구성 발사체에서 1단을 제외한 2~4단 엔진의 점화·연소 등 성능을 검증했다. 지난해 3월 30일 1차 시험에서는 2단 엔진만 검증한 바 있다. 2차 시험에선 위성을 고열과 압력으로부터 보호하는 페어링(위성보호덮개) 분리, 단 분리, 상단부 자세 제어, 더미(모형) 위성 탑재체 분리 등의 검증도 이뤄졌다.

ADD 관계자는 “2차 시험에서 모든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며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지만 상당 수준의 진전이 있었고 완성 직전의 단계”라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상당한 수준을 넘어 100%의 신뢰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앞으로 추가 시험이 필요하고, 위성체 연구개발 과정과도 (일정이) 잘 맞아야 한다”며 “2025년 실제 위성을 띄우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발사체의 최하단 부분인 1단 엔진은 현재 설계 완성 단계로, 향후 지상 연소시험 등이 실시될 예정이다.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는 액체연료 방식보다 단순한 구조로 다수의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데 적합하다. 생산 비용도 저렴해 단기간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연료를 사전에 발사체에 주입해 신속하게 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북한도 지난달 15일 고체연료 로켓 엔진의 지상 분출시험을 실시하는 등 관련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한국의 기술력이 더 앞서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ADD 관계자는 “북한은 엔진 추력이 140tf(톤포스·140t 중량을 밀어올리는 힘)라고 발표했는데, 그에 대한 평가는 하지 않겠다”면서도 “우주발사체를 궤도에 올리려면 140tf를 훨씬 능가하는 추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고체 추진기관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년 후 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를 확보해 독자적 우주 기반 감시·정찰 능력을 크게 발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형 위성을 군집 형태로 운용하면 우주에서 북한 전역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발사대(TEL) 움직임 등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 능력도 한층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