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사  >  건강

[And 건강] 알츠하이머 ‘게임 체인저’ 신약, 2년 후 한국 들어올 듯

기억력 감퇴 등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춰주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신약이 개발되면서 가벼운 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치료에 희망이 되고 있다. 해당 신약은 2년후쯤 국내에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클립아트코리아
 
인지 기능 저하 27% 지연 확인
‘베타 아밀로이드 가설’ 첫 입증
뇌출혈·부종 등 부작용도 적어

최종 임상 끝내… 기존 약 넘어서
단순 증상 완화 아닌 진행 늦춰
근본 치료 근접, 판도 변화 기대

美 5∼6월 승인, 日은 우선 심사
한국도 2년 아닌 조기 도입 절실
초기 환자 대상… 고비용 걸림돌

2003년 이후 약 18년간 새로 나온 치매 치료제는 없었다. 도네페질 등 기존 4가지 치매약도 대부분 증상 완화만 가능할 뿐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진 못하고 있다. 그러다 2021년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독성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 효과가 일부 확인된 아두카누맙(제품명 아두헬름)이란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조건부 허가를 받아 세상에 나왔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뇌 침착을 감소시키는 걸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허가 이후 이 신약의 효능성(인지 기능 개선 여부)과 부작용, 고가의 비용을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면서 유럽과 일본 한국 등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선 승인 조차 받지 못했다. 미국에서도 의사 처방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또 다른 신약인 간테네루맙이 최종 3상 임상시험에 실패해 많은 치매 환자들을 또 한번 실망시켰다.

그런데 미국 바이오젠과 일본 에자이사가 공동개발한 레카네맙(상품명 레켐비)의 3상 임상시험 결과가 지난해 11월 발표되면서 희소식이 전해졌다. 치매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환자 1795명 대상 비교 임상에서 18개월간 레카네맙을 2주에 한 번씩 정맥주사하고 임상치매평가척도(CDR-SB)를 측정한 결과, 기억력 감퇴 등 인지 기능 저하를 27% 늦추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미국 FDA는 이런 결과가 나온 임상3상에 앞서 진행된 소규모 임상2상 데이터에 기반해 지난달 초 레카네맙을 이례적으로 가속 승인했다. 가속 심사는 중증 질병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끝나기 전에 조건부 허가하는 제도다.

대한치매학회 양동원(가톨릭의대 신경과 교수) 이사장은 6일 “앞서 효과성 논란을 빚은 아두카누맙은 4상 임상시험 추가 실시를 조건으로 FDA 승인을 받았으나 전문가들 사이에선 사실상 임상실패로 받아들이고 있다. 반면 레카네맙은 최종 임상까지 다 끝났고 그 결과가 나온 것”이라며 “인지 기능 저하 지연 27%가 높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도네페질 등 현존 치료약으론 근접하지 못하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더구나 1년 6개월간의 임상결과이고 그 후 추적관찰에서 신약 투입군과 가짜약군의 인지 기능 저하의 그래프 차이는 더 벌어진 걸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의 근간인 ‘베타 아밀로이드 가설’의 타당성을 입증한 사실상 최초의 신약으로, 그간의 학계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성 면에서도 아두카누맙 보다 낫다는 평가다. 베타 아밀로이드 기반 치료제는 뇌에 해당 물질이 응집돼 쌓이는 것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뇌혈관 손상으로 인한 뇌출혈, 부종 등 부작용이 따른다. 레카네맙은 뇌촬영에서 부작용에 해당하는 이상 영상(ARIA) 발생률이 약 10%로 아두카누맙(35~40%)보다 훨씬 낮게 나왔다. 레카네맙은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혈관벽에 응집되기 전 액체 상태에서 제거하는 기전이다. 다만 이 신약 역시 임상시험에서 3명의 환자가 사망해 안전성 우려가 완전히 가신 건 아니라는 지적이 있다.

한양대병원 신경과 최호진 교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카네맙이 단순한 증상 완화가 아니라 인지 기능 저하 등 질병 진행 자체를 늦추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근본 치료에 근접했다는 의미에서 향후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되기에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또 “에이즈 치료제가 처음 개발됐을 때도 부작용 등 논란이 있었지만 약이 계속 업그레이드되면서 지금은 과거 무섭던 에이즈가 만성질환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나. 이번 알츠하이머 신약도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제약업계와 전문가들에 따르면 레카네맙은 오는 5~6월쯤 미국 FDA 정식 승인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난달 말 일본 당국으로부터 판매를 위한 우선 심사 대상으로 지정됐고 유럽의약품청에는 승인 신청이 이뤄진 상태다.

한국에는 2년 뒤에나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최 교수는 “개발사가 공식적으로 밝힌 바는 없지만, 전문가들에겐 2년 후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주고 있다. 승인 신청과 심사, 약값 결정 등 여러 장벽을 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이사장은 “레카네맙을 기다리는 환자들이 많고 치료 의사들도 늦게 도입되는 걸 아쉬워하고 있다. 빨리 들여오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에 들어온다고 하더라도 고가의 비용(연간 3250만원)이 걸림돌이다. 레카네맙은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에 의한 알츠하이머성 경도인지장애(기억력 등 인지 기능이 떨어졌지만 혼자 생활 가능)와 초기 치매(독립생활 불가능) 환자가 적용 대상이다. 2020년 기준 국내 경도인지장애 추정 환자는 250만명(실제 진료 환자 13만명)인데, 이들의 절반 안팎이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전국 치매 환자는 91만명(65세 이상 84만명 추정)이며 65세 이상 치매의 75.5%가 알츠하이머형이다. 환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선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한데, 재정 부담이 만만치 않다.

양 이사장은 아울러 “18개월의 임상결과로는 뇌에 쌓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73% 제거되는 것으로 나왔는데, 그 이후엔 약을 중단할 지, 용량을 줄여 더 투약해도 될지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라며 “학회 차원에서도 추가 임상연구를 봐가면서 지침을 준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