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오피니언  >  칼럼  >  기타

[시사풍향계-버나드 로완] 왜 동상에 집착하는가



한국 내 위안부상과 노동자상은 현재 100개 이상 존재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서울의 일본대사관과 부산의 일본총영사관 앞에 위치한 것도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최근 시민단체와 몇몇 시민들은 일본총영사관 앞 위안부상 옆에 노동자상을 하나 더 세우겠다고 해 필자의 우려는 깊어지고 있다.

지난 몇 년간 미국과 유럽 등 전 세계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시민단체는 그들의 노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고 믿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제 외교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이러한 노력들이 자칫 장기적인 화합과 평화를 고려하지 않은, 일종의 집착처럼 비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더 많은 동상을 세운다고 일본이 태도를 바꿀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또 2015년 체결된 위안부 합의에 대한 재협상 요구도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것들은 오히려 한국의 대일 외교 전략에 치명상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행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시민단체와 위안부 생존자, 시위 참가자, 전 세계 시민들이 추구하는 것이 무조건 틀렸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 방법이 잘못됐다는 것에 대해서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단순히 동상을 세우는 것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끝낼 수는 없다. 동상 건립을 계속적으로 고집하는 것은 한국에 대해 일본인이 갖고 있는 우호적 감정을 축내고 오히려 한·일 간 대립각을 더 세우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모든 일본인이 극우파가 아니며, 모든 일본인이 한·일 간 문제에 대해 모른 체하지 않는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지금의 한국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동북아시아 정세 속에서 국가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다지고, 잠재적 위협에 맞설 수 있는 협력체 구성을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

한국 사람들이 동상 건립을 통해 일본 극우파들의 이념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헛된 바람일 뿐이다. 추가 동상으로 일본인들의 관심을 촉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이 또한 추상적 판단이다. 지금은 부산 일본총영사관을 방문한 사람들의 얼굴에 일본 제국주의 당시 상황을 부각시키기보다 협동을 바탕으로 양국 젊은이들 간의 호의적인 관계를 구축해야 할 때라는 것을 명심하자.

부산 일본총영사관 주변을 비난의 상징으로 에워싸는 것은 국제사회의 외교 협약을 무시하는 무례한 행동이며, 양국 간 평화와 공감대만 악화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공공장소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적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키고자 위안부 생존자들의 경험, 지지자들의 이상 추구 혹은 정치적 현실을 강조한다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더불어 한국 시민단체와 일부 정치 지도자들이 일삼는 희생양 삼기와 이에 따른 부작용도 예의주시해 살필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청년 고용 증가, 적폐 청산, 경제발전 등 더 나은 한국의 상황이지 일본을 한국의 적으로 규정하는 게 아니다. 한국과 일본은 청년고용, 경제발전 등 비슷한 고민거리를 공유하고 있다. 아베노믹스를 통해 경제발전 및 청년고용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한 일본에 배울 점도 많은 상황에서 일본을 계속 적으로만 규정하는 것은 퇴보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더 이상 한국의 시민단체들이 갈등의 씨앗을 뿌리지 말았으면 한다. 오히려 지금의 한국은 동북아는 물론 전 세계와 함께 세대를 아우르는 장기적인 화합 관계를 꾸준히 추구해야 할 때다.

역사적인 시각에서 봤을 때 결코 비난을 피해갈 수 있는 나라는 지구상에 거의 없을 것이다. 이는 일본뿐 아니라 한국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더 이상 부산, 혹은 어느 곳이 됐든 동상 세우기에 집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오히려 지금은 동북아 지역 갈등 봉합과 화합의 주축으로서 한국이 국제 외교무대에 설 때라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

버나드 로완 시카고주립대 부학장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