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소금-송세영] 교회와 공공건축



2002년 서울시장 선거의 쟁점은 청계천 복원이었다. 야당의 이명박 후보는 ‘임기 내 청계천 복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교통 대책과 보상 문제 등 난제가 많았지만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큰소리쳤다. 건설사 사장 출신이라 불도저식으로 밀어붙인다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여당의 김민석 후보도 장기적으로 복원해야 한다는 데는 동의했다. 하지만 충분한 연구를 하고 대책을 세운 뒤 추진하겠다며 신중론을 폈다. 김 후보는 그 재원으로 시민들의 복지를 확충하겠다고 맞섰고 지지자들도 청계천 복원 비용으로 임대아파트를 짓는 게 낫다고 옹호했다. 졸속 복원에 반대하는 김 후보의 입장이 더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여론은 이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김 후보는 선거운동 기간 수세에 몰렸고 큰 표 차로 패배했다.

청계천 복원을 둘러싼 논쟁은 생존권을 우선시하던 시대가 끝나고 삶의 질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알리는 상징적 사건 중 하나였다. 이후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고 배부른 자의 사치로 치부되던 문화와 예술, 여가생활의 가치가 재평가됐다. 의식주로 대표되는 생존권과 문화·예술은 양자택일의 대상이 아니라 함께 추구해야 할 가치라는 인식이 확산됐다.

최근 부쩍 늘어난 공공건축 개혁에 대한 목소리도 그 연장선에 있다. 한국에서 매년 새로 짓는 공공건축물이 약 9000개인데 이 중 90% 이상이 마을도서관 주민센터 어린이집 같은 작은 건축물이다. 소형 공공건축은 대부분 저가 입찰을 통해 설계비를 싸게 내는 이에게 설계권을 준다. 혈세를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한다는 사고방식에 기초한 제도이지만 이래서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름다운 건축물을 짓기 힘들다. 현대인의 삶에서 건축물이 기능적 역할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비용절감 우선주의는 시대에 뒤떨어진 발상이다. 국민의 인식 자체가 달라진 것이다.

하지만 교회 건축을 둘러싼 논쟁에서는 이런 변화를 느끼기 힘들다. 사랑의교회에 이어 지난 4월 입당감사예배를 드린 새문안교회도 호화 건축 논쟁에 휩싸였다. 비판자들은 새문안교회 건축에 들어간 수백억원의 건축비를 문제 삼았다. 그 돈으로 빈민구제나 하지 교세를 과시하려고 호사스러운 건축물을 짓느냐는 게 비판의 주된 취지다.

여기에는 교회를 사익 추구 집단으로 보는 인식이 깔려 있다. 그러나 교회는 공적인 공동체이며 공적인 책임을 추구한다. 국가에서 종교단체에 세제 혜택을 주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교회 건축에 대한 비판이 가능한 것도 교회의 공공성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개인이나 사기업이 비싼 땅에 거액을 들여 고층건물을 짓는다고 비난하진 않는다. 복음 전도나 이웃 구제와 같은 사역이 중요하지 건축물은 껍데기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전제돼 있다. 원칙적으로 옳은 이야기지만 교회 건축의 공공성을 감안할 때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건 무리가 있다.

논란의 새문안교회 예배당은 최근 ‘2019 아키텍처 마스터 프라이즈(AMP)’ 건축설계 부문 문화건축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값비싼 자재를 사용해 크고 호화로운 건축물을 지었다고 받은 상이 아니다. AMP는 매년 혁신적 건축 프로젝트를 선정해 시상하는데 올해 수상작 중 교회 건축은 새문안교회가 유일하다. AMP는 “(새문안교회가) 어머니교회-한국의 노트르담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며 “새 예배당의 곡면 벽은 아이를 품에 안은 어머니 모습을 닮았다”고 평가했다. 설계에 참여한 이은석 경희대 교수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3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한국 교회가 세계 속에서 중요한 위상을 갖게 됐다. 이제 교회 건축에서도 한국적 가치를 보여줘야 할 때”라고 소감을 밝혔다.

왜 비싼 땅에 많은 돈 들여서 교회 건물을 크게 짓느냐고만 문제 삼으면 많은 것을 놓칠 수 있다. 교회 건축에 어떤 정신을 담았는지, 공동체의 뜻을 모아 감당할 수 있는 재원으로 지었는지, 공간을 어떻게 공적으로 활용할 것인지를 물어야 한다. 경희궁 옆 대로변에 있는 새문안교회는 이미 관광객들의 사진 촬영 명소가 됐다. 공공건축으로서 소임을 어느 정도 하고 있는 셈이다.

모든 교회가 다 크고 번듯할 필요는 없다. 감당하기 힘든 부채로 짓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교회공동체 구성원들의 의지를 모아 상황과 처지, 사명에 맞게 공공건축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짓는다면 천막교회도 대형교회도 아름다울 수 있다. 복음적 가치와 한국적 아름다움이 담긴 교회 건축물이 더 많아지면 좋겠다.

송세영 종교부장 sysohng@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