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블시론] 세상이 말하는 종교의 ‘역할’



지난 글에서 최근 종교 조사 연구에 사용된 ‘신뢰’ ‘호감’ ‘관심’을 통해 한국교회의 현주소를 살폈다. 팬데믹을 거치며 세속사회의 신뢰와 호감의 하락 폭이 커졌을 뿐 아니라 제도종교를 향한 관심 자체가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했다. 신뢰 회복을 위해선 긴 호흡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그 노정 역시 험난할 것임을 깨달았다.

신뢰 하락을 대수롭지 않거나 투철한 신앙의 열매쯤으로 간주한다면 쓸데없는 얘기겠지만, 참다운 ‘교회다움’에 세상의 신뢰가 중요하다면 그 회복을 위한 출발점은 교회와 세속사회의 접점을 찾는 일이어야 한다. 세상의 눈치를 보거나 입맛에 맞추자는 게 아니다. 기독교 신앙과 세속사회의 가치가 서로 만나는 지점, 교집합부터 찾아보자는 말이다.

여기에 조사 연구에서 사용된 ‘필요’ ‘기대’ ‘역할’의 개념은 좋은 길잡이가 된다. 먼저 ‘필요’를 보자. 올해 국민일보 조사에서 한국인의 69.4%는 ‘종교의 사회적 필요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새 전체 인구의 60%를 넘어선 비종교인 중에서도 55%나 그렇다고 답했다. 2년 전 엠브레인 조사에서 “내 삶에 있어 종교는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34.5%, 비종교인 중에선 6.9%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흥미롭다. 두 문항의 차이가 시사하듯 지금 세속사회가 주목하는 건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종교의 필요다.

제도종교를 향한 관심이 줄어듦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이 종교의 사회적 필요를 인정한다는 건 무엇을 말할까. 세속사회에서 종교만 할 수 있는 일이 아직 남았다고 여긴다는 뜻이겠다. 다른 것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종교의 몫 말이다. 나는 이를 ‘기대’라는 개념으로 설명해 왔다. 세상이 개신교를 향해 호감이 아닌 반감을, 칭찬이 아닌 비판을 표명할 때도 거기엔 ‘충족되지 않은 기대’가 전제돼 있다. 세속사회는 종교의 가장 이상적 모습을 설정해 두고 그에 비춰 현실종교를 평가한다. 부합하면 칭찬이, 그렇지 않으면 비판이 뒤따른다.

다른 말로는 ‘역할’이겠다. 세속사회는 종교를 아예 부정하거나 종교의 자리를 박탈하지 않는다. 대신 종교만의 사회적 역할을 설정하고 충족하기를 기대한다. 그게 무엇일까? 국민일보 조사에서 ‘종교의 바람직한 역할’을 묻는 문항에 대한 가장 많은 답변은 ‘이웃에 대한 사랑’(82%)이었다. ‘종교의 바람직한 기능’을 물었더니 ‘사회적 약자를 돕는 것’(78.9%)이 가장 많았다. 2020년 엠브레인 조사에서 “종교가 한국 사회를 위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물었을 때 최다 답변은 ‘다양한 봉사활동의 주체’(51.1%)와 ‘사회적 약자 보호’(49.7%)였다.

이웃 사랑, 그리고 약자의 편. 세속사회가 말하는 종교의 핵심적 역할이다. 사실 이는 여론조사뿐 아니라 종교를 다루는 여러 미디어 텍스트에서도 반복해 발견된다. 자기중심성 과잉 시대를 살아가며 사람들은 자기 부인의 사랑을 찾고 있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자비의 논리에 목마르다. 종교에선 볼 수 있을까 기대한다. 다른 어디에서도 힘들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기독교 신앙과 세속사회의 가치가 명확히 만나는 지점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역으로 생각하면 한국교회를 향한 호감이 줄고, 신뢰가 낮아지고, 관심 자체가 쪼그라드는 건 결국 세상이 교회에서 이웃 사랑을 보지 못한다는 말이다. 개신교를 약자의 편이라고 간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기대를 충족하지 못한 한국교회의 현실이다.

세상이 한국교회의 변화를 기다려줄 걸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세속사회 속 종교의 역할은 제도종교만 채울 수 있는 게 아니다. 제도권을 벗어난 종교 집단, 유사 종교, 종교적인 각종 미디어 현상까지 그 잠재적 역할 수행자는 너무 다양하다. 결코 떼어 놓은 당상이 아니다.

박진규 (서울여대 교수·언론영상학부)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