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전쟁터 위에 세워졌다. 전쟁의 잔혹함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는 국민이기에 평화에 대한 열망도 크다. 보수와 진보는 평화를 이룰 방법론에서 생각을 달리할 뿐이다. 그런데 미래의 평화를 위한 희구에 비해 과거 전쟁의 부작용을 씻으려는 노력은 충분치 않은 듯하다. 오늘날 이 땅에 전쟁은 그쳤으나 일상의 문화는 여전히 전쟁터에 준한다.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는 전쟁의 언어, 행동, 마음가짐이 통용되고 요구되며 용인된다.
아이들은 전쟁을 치르듯 시험을 치른다. 전쟁에서 남이 죽어야 내가 살고, 살 수 있다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듯이, 아이들은 배우는 과정도 내용도 아닌 시험과 경쟁의 결과만이 중요하다고 배운다. 답을 알아서 맞히나 ‘찍어서’ 맞히나 마찬가지고, 표절 논문으로 ‘스펙’을 만들어도 발각되지 않으면 실력이다. 그러다 소위 명문 대학에 가면 사회가 제공하는 온갖 부조리한 혜택을 당연하게 여긴다.
청년들은 땀과 오랜 노력으로 얻는 결실을 믿지 않는다. 전쟁터에서 운이 없으면 유탄에도 죽고 아군 총알에도 죽지만, 빗발처럼 쏟아지는 총알 사이로도 누군가는 산다. 그 누군가가 내가 되길 바라며 청년들은 별 준비도 지식도 없이 코인을 사고 ‘영끌’과 ‘빚투’를 감행한다. 나와 내 주위 사람에게 죽고 살 확률이 동일해야 한다는 ‘공정’을 요구하지만, 정작 그 전쟁을 누가 일으켰는지에는 관심이 없다.
어른들은 슬퍼하지 않는다. 전쟁터에서는 전우가 쓰러져도 버리고 전진해야 한다. 가슴이 아프지만 살려면 빨리 잊는 게 상책이다. 아이들이 익사하고 청년들이 압사해도 너무 오래 슬퍼하는 건 사치다. 할 일이 많고 바빠서 애도로 시간을 보낼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가족을 잃은 불행한 이들이건 이동권이 박탈당한 장애인이건 너무 크게 울면 좀 조용해주길 바란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하고 갈 길이 먼데 함께 아파하자는 건 지나치다.
노인들은 왜 모두 전쟁터에서처럼 살지 않느냐고 타박하기 일쑤다. 이제 좀 잘살게 됐다고 긴장을 풀면 안 되는데, 더 이상 처절하고 비장하게 살지 않는 후대가 영 못마땅하다. 전쟁터처럼 살려면 적군과 아군을 구분해야 하니 때론 없는 적도 만들어낸다.
지도자는 약자를 언급할 뿐 돌아보지 않는다. 전쟁에서 낙오자와 사상자가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기 때문이다. 병들고 장애에 시달리며 지친 사람들에게 큰 비용을 들이는 것은 비생산적이다. 건강보험 보장 범위 같은 건 적당한 선에서 줄여야 하고 세금은 덜 거둬야 한다. 전쟁에 이기려면 약자를 돌볼 비용을 전쟁용 물자와 무기 만드는 회사들에 주는 것이 더 낫지 않은가.
대한민국은 이제 북한이 감당 못할 비용을 들여 거의 매일 미사일을 쏘아대도 요동하지 않을 만큼 강하고 안전해졌다. 그런데도 전쟁터에서나 용인될 만한 행태와 마음 씀씀이가 우리 일상을 지배하고 있다. 전쟁터의 불안과 살벌한 문화가 판치는데 피가 튀고 사람이 죽어 나가지 않아 다행이라 할 것인가. 전쟁이 없어도 전쟁터의 마음은 사람을 죽인다.
아이에게 친구를 이기지 않아도 다같이 잘 사는 방법이 있노라고,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라고 말해야 한다. 청년에게 열심히 일하고 생산하는 자의 기쁨을 경험하게 하고 땀 흘리는 자가 억울하지 않은 세상을 물려줘야 한다. 어른이라면 불의의 사고를 당한 이들과 함께 슬퍼하고 약자와 공감하며 나와 내 가족이 우연히 누린 안전이 미안해서 그것을 모두의 것으로 만들겠노라 다짐해야 한다. 노인이 전쟁터의 삶이 얼마나 사람을 피폐하게 했는지 증언하고, 지도자가 약자의 마음에 평화가 깃들어야 모두가 평화로울 수 있노라고 유권자를 설득해야 한다. 평화는 멋진 말과 굳센 안보로 오지 않는다. 평화롭게 살아야 평화가 온다.
손화철 한동대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