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한국 철도史 새로 쓰는 고종의 외교 기록 처음 나왔다

1887년 주미대한제국공사관 서기관으로 임명된 이상재 선생. 문화재청 제공


이상재 선생의 유품이자 당시 외교문서가 13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뉴욕 법관 ‘딸능돈’과 대한제국 정부 사이에 오간 경인선 철도 사업 논의를 담은 ‘미국공사왕복수록’의 문건(왼쪽)과 가족에게 보낸 편지(오른쪽) 등 자주 외교를 증거하는 생생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편지에는 “군주는 권한이 없고” 등 미국 제도에 대한 견해를 담아 사적 기록 이상의 의미가 있다. 문화재청 제공


근대화의 척도는 철도다. 인적·물적 자원을 신속히 이동시켜 부국강병의 토대가 된다. 한국사에서 철도 역사의 시작은 언제일까. 고종이 1889년 미국에서 귀국한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가져온 철도 모형을 본 것이 처음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런데 학계의 통설을 깨고 이미 1888년 고종이 초대 주미 전권공사 박정양 등과 함께 미국과의 한반도 철도 부설 사업 논의를 개진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13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1850~1927) 선생의 유품이자 주미대한제국공사관과 관련된 외교 자료 8점을 공개했다.

이상재 선생은 1887년 주미 공사관 서기관으로 임명돼 박정양과 함께 워싱턴DC에서 근무했던 근대기 외교사의 증인이다. 선생의 종손 이상구(74)씨가 기증한 이 자료는 외교 비망록인 ‘미국공사왕복수록(美國公私往復隨錄)’과 개인 편지 모음집인 ‘미국서간’ 등 문헌 자료 5점, 사진 3점을 포함한다. 대부분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최초의 자료들이자 현존 유일의 외교 자료라는 데 의미가 크다.

미국공사왕복수록은 현안 업무와 공사관의 운영, 공관원의 활동상 등 총 138쪽 분량으로 구성돼 있다. 박정양이 워싱턴에 도착한 1888년 1월 10일부터 귀국 후까지 3년에 걸친 시기의 기록이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1888년 10월 초 뉴욕 법관 ‘딸능돈’(달링턴으로 추정) 사이에 주고받은 사업 논의다. 그가 조선기계주식회사를 설립해 철로 양수기 가스등 사업 등 3건을 추진하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즉 그가 경인선 설치를 제안한 사실과 이를 뒷받침하는 계약서 ‘철도약장(鐵道約章)’ 초안이 함께 수록돼 있다. 당시 고종은 청의 내정간섭이 심해지면서 미국을 우군으로 두기 위해 철도 이권 사업을 미국에 넘기는 방안을 구상했었다. 박정양은 그러나 딸능돈의 제안이 15년 약정 기간 등 조건이 불리하며, 미국이 조선을 보호해주지 않을 것이라며 신중론을 폈던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부설권은 1896년 미국인 모스가 따냈으나 그가 일본 측에 넘기면서 1899년 일본이 완공했다.

미국공사왕복수록에는 당시 워싱턴에 파송된 각국 공사 이름, 미국 거주 조선인 이름, 미국 신문사명, 서기관 이상재 선생이 만난 미국인 등 세계 외교 중심지 미국에서 동분서주했던 근대기 외교관들의 활동상이 빼곡하다.

이상재 선생이 귀국하기까지 고국에 보낸 편지 38통은 서구의 근대를 접한 구한말 지식인 사고의 일면을 드러낸다. 부모의 안부, 집안일 관련이 대부분이지만 군데군데 미국의 정치 제도 등에 대한 소회를 담고 있다. “미국 풍속은 국민을 주권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군주는 권한이 없고, 오로지 민의를 주로 삼을 뿐이다”라고 왕조 국가의 신하로서 느낀 충격을 담은 것이 그 예다.

동국대 한철호 교수는 “열강의 이권 다툼에 수동적으로 끌려간 것이 아니라 고종과 신하들 사이에 냉철한 외교적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며 “19세기 말 고종 시대의 부국강병과 자주외교 의지를 보여주는 생생한 대미 외교 자료”라고 평가했다.

손영옥 미술·문화재전문기자 yosoh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