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여의춘추-손영옥] 손혜원은 어찌 돼가지?



도시재생사업이 늦은 목포는 결과적으로 전화위복이 됐다
하지만 ‘손혜원랜드’ 개발보다 이해충돌 막을 방안 마련해야
아니면 금배지 떼고 목포로 이주해 문화재지킴이 하든지


‘손혜원(의원 건)은 어찌 돼가지?’ 뉴스의 소비 속도가 워낙 빨라 정신을 못 차릴 정도다. 무소속 손 의원의 목포 투기 의혹 보도는 일주일여 만에 손석희 JTBC 앵커 폭행 의혹 사건에 묻혔다. 설 연휴가 끝나면서는 북·미 정상회담 소식이 따끈따끈해진 참이었다. 그런데 누군가 이렇게 물어오니 나 역시 ‘뉴스 그 후’가 궁금해졌다. 사건을 복기해봤다. 지난달 24일 저녁 모임에서 ‘손석희 앵커 폭행 의혹 당일 녹취록’이 카톡으로 돌자 다들 “손 의원이 웃겠는데…”라며 한 마디씩 했던 일이 떠올랐다. 부정적 뉴스에서 잊힐 계기를 찾았다는 의미였다.

곰곰 따져보면 승자는 손 의원 같다. 투기 의혹이 제기된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현장에서 가진 기자회견은 ‘신의 한 수’였다. 서울의 나전칠기박물관을 옮기려고 남편이 이사장인 문화재단 명의로 사놓은 폐공장에서 진행한 90분의 격정 토로는 전날 다녀간 자유한국당 나경원 의원의 체류시간 28분과 대비되며 목포 사랑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목포는 호구다’ ‘누가 목포를 살렸느냐’ 같은 목포인의 소외심리를 자극하는 문구까지 동원함으로써 투기 의혹 프레임을 일순 지역 재생 프레임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목포에) 출마하면 찍겠다”는 팬층도 생겨났다. 문화재 분야를 취재하는 기자로서 내 관심은 그의 행위가 투기냐, 투자냐의 여부가 아니다. ‘목포는 어떻게 돼가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돌이켜보면, 가족과 지인을 동원한 손 의원의 목포 적산(敵産)가옥 사재기는 박근혜정부 하에서 2014년부터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추진되며 적산가옥의 재발견이 이뤄지던 과정에서 일어났다. 때마침 부끄러운 역사도 되돌아보자는 다크 투어리즘도 떠오르면서 일제강점기 수탈 근거지였던 부산, 인천, 군산, 보성, 부여 등지의 적산가옥은 카페로, 숙박시설로, 전시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었다.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민간 자본도 관심을 가졌다. 벤처캐피털에 적산가옥은 좋은 투자 대상이 됐다. 산업유산들이 콘크리트 건물인 것과 달리 목조로 된 적산가옥은 리모델링이 쉬운 점이 매력이다. 적산가옥은 일제가 낸 ‘신작로’에 밀집돼 있어 개발 이익을 내기도 쉽다. 부여의 옛 일본인 거리였던 규암리 ‘자온길 프로젝트’는 민간 자본이 들어와 적산가옥을 카페, 서점, 목공소, 술집 등으로 탈바꿈시켜 관광 자원화에 성공한 사례다.

손 의원 측이 사들인 목포 만호동 일대의 부동산도 적산가옥들이다. 목포는 1897년 국내에서 4번째로 개항한 수탈의 도시이자 호남 근대화 일번지다. 1900년에 지어진 옛 일본 영사관을 비롯해 조선인들이 성금을 모아 지은 목포청년회관 등이 있다. 적산가옥도 200여채나 된다. 하지만 인천, 군산 등 다른 지자체에 비교해서 도시 재생 사업이 뒤처져 있었다

목포시와 시민 사이에 초조감이 짙게 깔려 있던 차에 손 의원의 이 사건이 터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화위복이 됐다’는 평가가 지역에서 나온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추진위원인 최성환 목포대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초기엔 혼란이 있었지만, 이번 사건으로 목포 도시재생 사업이 보다 투명하게 진척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진척이 되지 않던 조례 제정 작업도 탄력이 붙고요. 젠트리피케이션을 막기 위한 시민신탁 제도에 관한 논의도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목포는 비 온 뒤에 땅이 굳는 느낌이다. 문제는 ‘목포는 목포다워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 재생을 해 관광사업을 하더라도 지역적 특색을 뽑아내야 한다. 전국 개항장이 똑같은 붕어빵 카페거리가 돼서는 안 된다. 일부에선 손 의원이 추진하려는 나전칠기박물관이 목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근대기 서화가 남농 허건이 대표하듯, 해남에서 목포로 돈이 몰리는 대처(大處)를 찾아 옮겨온 수묵화가 더 목포다운 색깔이라는 주장도 있다.

목포시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만들어가는 단계에 있다. 이런 상황에서 외지인인 ‘손 의원 사단’이 점령군처럼 들어온 것이다. 그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힘센 금배지를 달고 있다.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야 할 목포의 도시재생 사업에 유력 인사 한 사람이, 그것도 공인이 당사자로 들어가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손혜원 랜드’식 개발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목포를 유력 정치인의 호구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그는 이제 출구전략을 짜야 한다. 이해충돌 방지를 위해 고위 공직자 주식 백지신탁을 하는 것처럼 자산관리회사(AMC)에 부동산을 맡김으로써 오해의 소지를 막을 수 있다. 아니면 금배지를 떼고 과감히 이주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목포 도시재생 사업에 발 벗고 나서서 문화재 지킴이로 거듭나는 것도 방법이다. 금배지를 다는 한 그가 할 일은 목포만이 아닌, 전국의 도시재생 사업을 위한 정책 입안을 하는 일이다. 그게 국회의원의 일이다. 그게 최후의 승자가 되는 길이다.

미술·문화재 전문기자 osoh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