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출신 의료선교사 올리버 R 에비슨(1860~1956·사진)이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을 외면한 서양 선교사들에게 일침을 가한 내용이 담긴 문서가 14일 처음 확인됐다. 에비슨은 42년간 한국에서 의료선교를 펼치며 국내 서양의학 발전의 기틀을 놓은 인물이다. 제중원 4대 원장과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했고 캐나다로 귀국한 뒤에도 ‘기독교인친한회(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에 가담해 한국의 독립을 도왔다.
박명수 서울신학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관련 논문을 작성하다 이 문서를 발견했다며 국민일보에 공개했다. 논문은 지난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발간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65집’에 수록됐다.
해당 문서는 에비슨이 이승만의 제안을 받아 기독교인친한회에 합류한 이후인 43년 작성됐다. 기독교인친한회는 한국에서 활동한 선교사를 대미 외교 자원으로 활용키 위해 이승만 등이 조직한 단체다. 에비슨은 35년 귀국했지만 한국에서의 오랜 선교활동으로 한국을 다녀간 각국 주요 인사들과 친분이 있었다.
42년 이 단체에 합류한 에비슨은 그해 10월 한국 독립운동에 서양 기독교인이 힘을 실어주자는 내용의 편지를 지인들에게 보낸다. 임시정부에 기독교인 지도자가 여럿인데 훗날 한국이 독립되면 세계에 복음을 전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담았다.
적지 않은 서양 선교사들과 이들이 소속된 선교부는 그의 제안에 미온적 반응을 보였다. 선교사는 복음 전파에만 힘쓸 뿐, 정치행위인 독립운동엔 관여치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에비슨은 이 논리를 반박하기 위해 43년 11월 1일 다시 편지를 쓴다. 편지는 기독교인친한회 서기 겸 재무였던 그와 이 단체 회장이자 감리교 목사인 폴 F 더글러스 아메리칸대 총장 공동 명의로 발송됐다.
에비슨은 편지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게) 과연 선교사로서 옳은 태도인가”라고 묻는다. 그는 “선교지에서 활동하려면 ‘순수 복음을 전할 자유’ ‘종교·과학·정치적 진리를 가르칠 수 있는 자유’ ‘타인의 간섭 없이 자선을 행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며 “선교 초기엔 이런 자유가 있었지만 현재 한국은 신사참배 없이 교회에서 예배드릴 수 없고 천황숭배 없이 학교에서 배울 수 없으며 병원에서도 천황에게 매일 절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한다. 이어 “한국 지도자들은 훗날 이렇게 행동했던 선교사들이 자신의 선생으로 돌아오는 걸 허락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들은 강도 만났을 때 누가 도왔고 바리새인과 서기관처럼 누가 지나쳤는지를 잘 알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선교사들에게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도우라고 권한다.
박 소장은 “에비슨이 열거한 선교에 있어 필요한 세 가지 자유는 임시정부 설립 100주년을 맞은 현재 한국교회뿐 아니라 우리 사회에 큰 울림을 준다”며 “오늘날 북한 등 공산주의권 선교에도 시사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