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청사초롱-이종묵] 매미와 개구리



더위가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매미가 창에 붙어 죽어라 울어댄다. 옛사람은 청선(淸蟬)이라 하여 맑은 매미 울음소리를 가을의 상징으로 여겼건만 내 귀에는 그렇지 못하니 ‘공부’가 부족해서일까. 18세기 호남의 실학자 위백규(魏伯珪)는 ‘격물설(格物說)’이라는 글에서 매미를 이렇게 칭송했다.

“살면서 다른 사물한테 요구함이 없는 놈이 매미다. 오직 그 요구하는 바가 없으므로 다른 사물과 다툼이 없다. 긴긴 여름 천명을 누리면서 맑은 그늘을 골라 그 즐거운 뜻으로 울음을 울다가, 서늘한 바람이 이르면 조물주의 뜻에 순응하여 돌아가 숨는다. 이 어찌 신선의 성품을 얻은 것이 아니겠는가.”

이 말을 들은 어떤 이가 매미는 울음이 귀를 매우 시끄럽게 하니 밉다고 하면서 소리를 내지 않는 놈이 좋다고 하였다. 이에 위백규는 되물었다. “귀를 시끄럽게 하는 소리 중 태반은 다른 사물을 해치는 것이거나 무엇인가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던가. 밤낮으로 자네의 귀를 시끄럽게 하는데도 미워할 줄 모를 뿐만 아니라 그를 좇아서 그 시끄러움을 조장하기까지 하지 않는가.”

저 요란한 매미 울음소리는 싫고 돈과 권력을 좇아 빌붙고 선량한 사람을 해코지하는 소리는 즐거워하고 있지 않은지 돌아보게 한다. 여름철 매미가 도심을 요란하게 한다면 시골은 온통 개구리 울음소리로 시끄럽다. 17세기 문인 김수항(金壽恒)은 한강 하류 통진(通津)에서 벼슬할 때 관아의 서재 앞에 작은 웅덩이가 있었는데 여름이 되자 개구리가 하도 요란하게 울어 공부는 물론 밤잠을 이루지 못하게 하기에, 웅덩이 물을 퍼내어 개구리 씨를 말리겠노라 다짐하였다. 그러다 문득 개구리가 우는 것도 천성을 따른 것이라는 깨달음을 얻고 공부거리로 삼았다.

“사람의 지각은 동물에 비해 아주 뛰어나지만 오히려 물욕으로 가려질 때가 많아 그 천성을 극진히 하는 일이 드물다. 치우치고 막힌 동물이야말로 도리어 천성을 극진히 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천기(天機)에 의해 절로 움직여 다른 힘을 빌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개구리가 우는 것은 가르치고 배워서 그러한 것이 아니요, 자연스러운 천성에서 나와 그러할 뿐이다. 지금 사람이라는 존재는 가르침과 배움에 기대지 않고서도 과연 천성을 따를 수 있을 것인가. 가르쳐도 할 수 없고 배워도 할 수 없는데 하물며 가르치지 않고 배우지 않는데 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생각하니 사람이 오히려 개구리만도 못하다. 그런 사람이 동물의 천성을 금제하는 것이 어찌 옳겠는가.”

개구리는 학교에 가지 않아도 천성대로 산다. 매미도 마찬가지니, 매미 울음소리를 미워해서 되겠는가. 매미 울음소리는 더운 여름이 물러가고 가을이 온다는 신호이기도 하다. 매미가 극성스럽게 울어 잠을 설치게 하지만, 매미가 우는 것 자체가 여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슬퍼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옛사람들은 매미 울음을 가을이 오는 소리로 들었다. 고려의 대문호 이색(李穡)은 노년을 맞은 어느 해 입추(立秋)에 이렇게 시를 지었다.

“내 병들어 더위 가셨으면 바랐더니, 하늘이 가련히 여겨 다시 입추라네. 매미 소리가 선득선득 침상을 감돌고, 기러기 그림자 별 뜬 다락에 가깝네. 건강을 지키는 일 더욱 힘써야지, 밖으로 치달리는 일 조금 쉬어야겠지. 새로운 가을 기운 마음에 딱 맞는데, 강에는 조각배가 벌써 눈에 보이네(我病思消暑 天憐又立秋 蟬聲風榻 雁影近星樓 保養當加謹 驅馳且少休 新可人意 江上有扁舟)”

한더위라도 절기가 입추라면 왠지 가을 기운이 절로 느껴질 터, 처서가 지났다면 더욱 그러하리라. 그래서 매미 울음소리가 더욱 반갑다. 곧 맑은 하늘 별빛 아래에서 기러기 그림자를 볼 수 있을 듯하다. 늙고 병든 몸이니 더욱 자중하고, 맑은 가을을 맞아 배를 타고 아름다운 산천을 여행하고 싶다.

이종묵(서울대 교수·국문학과)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