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재미와 함께 정보 버무린 ‘스토리텔링 예능’ 뜨고 있다

최근 친구와 대화하듯 친근하게 이야기를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예능이 인기를 끌고 있다.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집중력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위 사진은 최근 시즌2를 시작한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아래는 얼마 전 정규 방송을 시작한 MBC ‘심야괴담회’. 각 방송사 제공


“내 얘기 한 번 들어볼래?”하며 별다른 장치 없이 오로지 이야기를 무기 삼는 예능은 친구와 함께 수다를 떠는 것 같은 친근함과 족집게 강사가 요점을 정리해 주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스토리텔링 예능의 묘미는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그 안에 집중력을 바짝 조이는 데 있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2’(꼬꼬무)는 현대사의 믿기지 않는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골라 친구에게 알려주듯 풀어낸다. ‘서프라이즈’(MBC) 같기도 하고, ‘그것이 알고 싶다’(SBS) 같기도 하지만 ‘꼬꼬무’의 심리적 장벽이 더 낮은 이유는 친구에게 알려주듯 이어가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든 대화는 반말이다. 유혜승 PD는 “술자리에서 얘기하다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대화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 위해 교차 편집 기법을 활용했다. 3명의 화자를 번갈아서 보여주는 방식이라 ‘꼬리에 꼬리를 무는’이라는 말이 붙었다.

시즌1에는 지강헌 탈주 사건, 김대중 전 대통령 납치 사건, 오대양 집단 변사 사건 등을 다뤘다. 실화를 바탕으로 하는 교양적 요소를 지니기 때문에 철저한 검증이 성패 요소로 꼽힌다. 앞서 인문학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내는 예능의 전성시대를 이끌었던 설민석의 경우 자질 논란을 이유로 사실상 방송가에서 퇴출되기도 했다. ‘꼬꼬무’ 역시 화자의 이야기에 의존하는 만큼, 검증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해석해야 올바른 정보제공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주제는 다르지만 포맷은 비슷한 MBC ‘심야괴담회’는 더 적극적으로 시청자를 끌어들인다. 이 프로그램은 시청자가 응모한 괴담을 소개한다. 귀신을 소환하는 분신사바, 물귀신, 고속도로 괴담, 페루 학교서 벌어진 단체 발작 등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현실의 오싹함을 전달한다.

이런 스토리텔링 예능의 대중화에는 온라인 문화가 영향을 끼쳤다. 임 PD는 “유튜버나 VJ 등 크리에이터가 혼자 수다를 떠는 콘텐츠의 수요가 높다는 걸 보고 이야기를 들려주듯 풀어내는 콘텐츠가 지닌 힘이 있겠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인기가 확장한 배경에도 온라인 문화가 있다. 한 개의 이야기만 떼어내 짧은 영상으로 가공하기 수월한 포맷이라 활발히 유통될 수 있다.

코로나19 상황도 스토리텔링 포맷을 주류 반열로 올린 요인이다. 야외 촬영과 많은 게스트 섭외에 제약이 있어 고정 패널을 유지하는 비교적 단순한 포맷이 스튜디오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팬데믹 상황이 국민에게 미친 심리적 요인은 예능에 다큐멘터리 요소를 접목하게 했다. 한 방송 제작 관계자는 “사회 침체기에는 예능보다 다큐멘터리의 수요가 더 높다”며 “감성과 웃음을 자극하는 예능·드라마보다는 불안 심리를 조일 수 있는 충격적인 콘텐츠를 갈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꼬꼬무는 지나치게 자극적이라는 지적에 직면했었다. 유 PD는 “비판을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왜 우리가 이런 사건을 기억해야 하는지 그 의미를 생각해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심야괴담회의 경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 않는 미신 등을 다루는 탓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임 PD는 “괴담의 주인공은 주로 여성, 아이, 노인 등 사회적 약자가 많다”며 “특정 집단이나 계층에 대한 혐오를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얼마 전 종영한 SBS ‘당신이 혹하는 사이’는 스토리텔링 예능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으로 주목받는다. ‘그것이 알고 싶다’를 만들었던 배정훈 PD의 신작으로, 윤종신의 집에 모인 7인의 친구들이 새로 수집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주제는 ‘빌게이츠가 코로나19를 퍼뜨렸다’ 같은 기괴한 음모론이다. 이 프로그램은 최근 이달의 PD상을 수상했다. 당시 심사위원단은 “올바른 정보 전달이라는 교양 본연의 정체성을 예능적인 코드에 버무린 프로그램”이라며 “음모론의 실체와 배후, 확산 메커니즘을 추적하면서도 확대·재생산을 경계했다”고 평가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