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명작 in 이건희 컬렉션] 꽃 사이로 자유로운 나비… 결핍 채우려는 욕망 드러내

전남도립미술관에 기증된 천경자 작품 ‘꽃과 나비’. 1973년 작, 39.0×59.5㎝, 종이에 석채·분채·아교 등. 전남도립미술관 제공


천경자(1924-2015)는 꽃과 나비, 뱀, 여인 같은 몇몇 이미지의 파편으로 우리 뇌리에 박힌 작가다. 일종의 알레고리가 되는 이런 이미지(도상)가 하나로 엮인 대표작이 ‘길례 언니’다. 48세(1973년)에 그린 이 작품은 어릴 적 자신을 매혹했던 실존 인물 길례 언니의 이미지에 자신의 환상을 결합했다. 74년에 그린 ‘고(孤)’ 속의 여인 역시 머리에 화사한 꽃이 꽂혀 있고 어깨에는 나비가 앉았다. 길례 언니가 금세 울음이 터질 것 같은 순결한 눈망울을 가졌다면 작품 ‘고’의 여인이 가진 눈빛은 희로애락의 격한 감정이 사그라진 듯 무심해 오히려 보는 이가 눈물이 날 것 같다.

이건희 컬렉션 가운데 천경자 작품은 전남 고흥 출신인 점이 고려돼 전남도립미술관에만 유일하게 2점 기증됐다. 이중 ‘꽃과 나비’(1973년)는 꽃과 인물이 결합된 여느 작품과 달리 꽃과 나비만 등장해 이채롭다. 작품 한가운데를 차지하는 노란색 화사한 팬지꽃과 더불어 히비스커스 백합 프랑지파니 등 각종 꽃의 무리 위에 나비가 앉았다. 미술평론가 김현숙씨는 “여러 꽃에 날아다니며 달콤함을 즐기는 나비는 기쁨과 즐거움의 상징이다. 또한 나비는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설화를 통해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날아다니고 죽음과 재생의 가운데에 있는 상징물”이라고 했다.

천경자의 작품에서 꽃과 나비는 어떤 의미일까. 머리에 화려한 꽃을 단 여인은 작가가 어린 시절 고향에서 본, 머리에 꽃을 꽂고 다니는 미친 여인에게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최광진씨는 ‘천경자 평전’(미술문화)에서 “미쳤다는 것은 자신의 욕망이 타인에 의해 억압됨에 따라 이성적 통제 기능이 상실된 것으로 달리 말하면 현실과 환상의 간극이 사라졌다는 걸 의미한다”고 적었다.

천경자는 미친 여인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지 않았을까. 그의 삶은 미치지 않으면 견딜 수 없는 사건으로 점철됐다. 천경자는 두 번 결혼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일본 유학을 갔다가 귀국길 배편을 구하는 데 도움을 준 남자와 처음 결혼했지만, 행복하지 못했다. 남편은 6·25전쟁 중 행방불명됐다. 전시회에서 취재기자로 만난 두 번째 남자는 유부남이었다. 두 남자에게서 생긴 핏줄들을 혼자 키우던 시절에 그려진 그림이 ‘꽃과 나비’다. 가세는 몰락했고 사랑하던 여동생이 가난 탓에 결핵으로 죽은 기억은 쉽게 지워지지 않았다. 미친 여자가 꽂던 꽃과 그 사이를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나비는 인생에서 채워지지 못한 결핍, 그것을 채우고자 하는 욕망의 상징일지 모른다. 이 작품에서 꽃들은 자연 속 모습 그대로 재현되기보다 다발의 형태로 구성돼 상징적이고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샤갈의 그림처럼 환상적이다. 그 환상은 행복과 죽음, 사랑과 고독의 경계를 벗어나 자신만의 소우주를 창조하고자 하는 욕망의 다른 이름이다.

손영옥 문화전문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