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가 무분별하게 섞인 표현이 늘면서 단어의 뜻을 쉽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이전에는 없던 용어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언어를 두고 세대 간 이해도 격차가 벌어지고 더 나아가 정보 소외와 세대 단절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일보는 문화체육관광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어려운 외국어 중심의 공공언어를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연재를 시작한다. 정부와 지자체 정책 용어 가운데 무분별하게 쓰이는 외국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공공언어 문화를 개선한다는 취지다.
국민일보는 문화체육관광부, 사단법인 국어문화원연합회, 한글문화연대와 함께 어려운 외국어 중심의 공공언어를 쉬운 우리말로 대체하는 ‘쉬운 우리말 쓰기’ 연재를 시작한다. 정부와 지자체 정책 용어 가운데 무분별하게 쓰이는 외국어를 알기 쉬운 우리말로 바꿔 공공언어 문화를 개선한다는 취지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코로나19가 올해도 이어지면서 이로 인해 달라진 일상은 언어생활에도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코로나19로 달라진 일상 가운데 달라진 대표적인 모습은 바로 사람들과의 접촉이 사라지는 비대면 방식의 소통이 늘었다는 것이다. 접촉을 뜻하는 영어 단어(contact)에 부정을 뜻하는 접두어 ‘un’을 합성해 만든 ‘언택트’라는 말은 대표적 코로나19 용어가 됐지만 ‘비대면’이라는 용어로 다듬어 쓰는 게 맞는다. 또 토론회나 공청회 등 공공 행사들 대부분은 실제 공간이 아닌 온라인을 통해 생중계되는 방식으로 전환됐는데 이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는 ‘웨비나’라는 표현 역시 ‘화상 토론회’로 대체해 사용해야 한다. 이 밖에도 승차 검사(드라이브스루 검사), 감염병 대유행(팬데믹), 연쇄 감염(n차 감염), 원격근무(스마트워크) 등도 다듬어 사용하면 단어 뜻을 더 이해하기 쉽다.
외국어 중심 공공 언어에 더 자주 노출될수록 해당 표현이 우리말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잘못 인식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바꿔 말하면 우리말로 다듬은 표현을 공공 언어에 더 자주 노출시키면 수용자들 역시 우리말 표현을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노쇼 백신’이다. 백신 접종 초기만 해도 예약을 했다가 취소한 코로나19 백신 접종분을 두고 ‘노쇼 백신’이라는 단어가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실제 백신 접종을 위한 안내문과 신청서에 ‘노쇼 백신’이라는 용어 대신 ‘잔여 백신’이라는 단어가 노출됐다. 자연스럽게 관련 용어도 우리말로 다듬은 표현이 대체하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트래블 버블’이라는 정책 용어도 초반 외국어 표기 그대로 발표됐지만 최근에는 ‘비격리 여행 권역’ ‘안전 여행 권역’이라는 단어로 대체되고 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