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미분류

[민태원의 메디컬 인사이드] 코로나에 밀린 암관리 재정비할 때다



급성 감염병인 코로나19와 만성질환인 암의 경중이나 피해 정도를 직접 비교하긴 어렵다. 다만 생명과 직결되는 사망률로 따진다면 암이 코로나19보다 훨씬 무섭다. 가장 최근 사망원인 통계에 의하면 2020년 한 해 동안 8만2204명이 암으로 숨졌다. 2위 심장질환(3만2347명), 3위 폐렴(2만2257명) 등 그 아래 사망원인들과 격차가 크다. 암은 2000년 이후 20년 넘게 한국인 사망 원인 1위다.

반면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누적 사망자는 1만3432명(23일 0시 기준 치명률 0.13%)에 그친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영향으로 전 인구의 약 20%가 감염됐어도 독성이 낮아 고령층·기저질환자 외에는 큰 위협이 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 급성 감염병은 대유행 시기를 지나면 어느 정도 위험에서 벗어나고 피해도 줄어든다. 이에 비해 암은 대개 40세 이상에서 발병 위험이 크고 한번 걸리면 1년 이상 치료 기간이 필요하며 큰 고통과 비용이 따른다. 기대수명까지 살 때 국민 37% 이상이 암에 걸린다고 하니 평생을 암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 있다.

지난 2년여간 코로나19 대응에 전력하느라 암을 비롯한 일반질환 진료가 뒷전으로 밀려났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조사 참여국의 암 검진 및 치료 서비스는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최소 5%에서 최대 50% 수준의 중단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우려스럽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의료이용 제한으로 암 조기 발견 및 치료, 합병증 관리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2020년 국가암검진 수검률은 49.2%로 전년보다 6.4% 포인트 떨어졌다. 2019년까지 증가 추세이던 암 환자의 입원 진료량은 2020년 6~22% 줄었다. 암 진단과 치료 시기가 늦어지면 그만큼 중증도가 악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말기 암 환자들의 편안하고 존엄한 죽음도 방해받고 있다. 전국 88개 완화의료전문기관이 호스피스 입원 병동을 갖추고 있는데, 이 중 절반가량은 국공립병원들이다. 그런데 코로나 병상 확보가 시급한 지방의료원들이 호스피스 병상을 코로나 병상으로 전환하면서 임종을 앞둔 말기 환자들의 갈 곳이 없어지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암 예방에 대한 국민 인식과 실천 노력도 느슨해졌다. 국립암센터 조사 결과 지난해 10대 암예방수칙의 인식률과 실천율은 각각 80.3%와 39.3%로 2018년(각 83%, 46.2%)보다 낮아졌다.

문제는 이런 암 예방 노력의 부족이나 암 진단·치료 지연의 여파가 앞으로 수년간 암 관리 서비스 제공 전반에 미칠 것이란 점이다. 심뇌혈관질환 등 다른 중증질환들도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생명 위협 요인 중 암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할 때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최근 오미크론 대유행을 앞서 겪고 다소 소강상태에 놓인 나라들에서 암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것은 긍정적이다. WHO 유럽지역 한스 클루게 사무처장은 지난 2월 세계 암의 날 연설에서 “코로나19 대응으로 미뤄뒀던 만성질환 관리, 특히 전주기적 암 관리(예방-검진-진단-치료-완화의료)를 포함한 필수적 보건의료서비스를 계속 수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미크론 대유행의 정점을 지나고 있는 한국도 암 관리에 경각심을 갖고 의료 역량을 재정비할 때다. 무엇보다 앞으로 반복될 감염병 팬데믹을 대비해 암 관리 체계를 확실히 구축해 놓을 필요가 있다. 적극적인 암 치료와 관리를 필요로 하거나 의료 이용에 제한을 받는 환자들을 위해 지역사회 기반이나 재택 암 관리 같은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등 의료 접근성을 높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플러스
입력